[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신 통금이 다음주면 끝난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해제를 15일 선언했다. 아이러니 한 것은 사회적거리두기를 시작하던 날 0시 신규확진자는 98명 이고 사회적거리두기 완화 발표일 신규 확진자수는 12만846 명이다.

수도권 사회적거리두기 2단계 조치가 시작된 날 신규확진자는 267명이었고, 본격적인 통금이라 일컬어진 수도권 2.5단계 사회적거리두기 적용일 수도권 신규확진자는 203명, 전국은 283명 수준이었다. 코로나19 치명률이나 미증유의 감염병이라는 당시 상황과 비교하더라도 신규 확진자 수 차이를 비교하기 힘들 정도다.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며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이 기간 동안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은 삶의 위기를 경험한 사례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고 알려졌다. 명절 기간 가족과 상봉도 어려웠다. 집회가 금지되면서 문재인 정부와 거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폭정에도 실체 없는 불만만 온라인을 가득 채웠다. 특히 부동산 관련 문제는 더욱 그랬다.

민주노총은 법이 정한 집회 인원수 제한을 지키지 않고 집회를 수차례 강행했다. 처벌 등은 뒤로 미뤄 놓은 상태다. 정권을 뺏긴 자들은 집회를 시작하겠다는 신호를 주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 되면서 집회 제한도 해제되는 셈이라는 점도 석연치 않다.

국민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일컬어 ‘신 통금’이라 불렀다. 외국인들은 늦은 밤에도 살아 있는 한국의 밤을 다이나믹하다고 표현했었다. 통금이 시작된 이후 거리는 활기를 잃었고 명동이나 홍대, 가로수길 등 공실률은 늘어가기만 했다.

국민들은 2주에 한 번씩 정부의 발표만 기다렸다. 하지만 매번 희망은 희망일뿐이라는 반응이었고 일상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지난 2월 정부의 고강도 거리두기에도 불구 1일 신규확진자 60만이 넘었을 때가 있었다. 공포와 안도가 함께한 날이었다. 감염강도가 강해져 조심스러웠지만 정점을 찍고 신규 확진자 수가 줄어들어 집단면역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공존했었다. 실제 정점을 찍고 완화세를 보였다. 오미크론 치명률이 높지 않고 특정 연령에 집중해 관리를 하면 된다는 경향성이 숫자로 드러나자 정부는 방역 방침을 고치기 시작했다. 의료계에서는 여전히 위험하다는 경고를 하고 있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정부의 조치에 성실히 따랐고 일상회복이 눈앞에 왔다. 2년 1개월이 넘는 시간 동안 무너진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가 언제 회복될지 모른다. 혹자는 사회적거리두기는 정치 방역이라는 비판을 지속해오기도 했다.

사회적거리두기 2년 1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근본적인 의문은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과연 국민을 보호하려 했는지 정권을 보호하려 했는지 석연치 않은 부분이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 국민들은 일상회복을 우선 즐길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