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기아, GM대우, 르노삼성... 가릴 것 없네요! 무차별적 자동차 리콜 사례 빈발

최근 들어 자동차 차체의 부품 결함으로 리콜이 유난히 잇따라 일어나고 있다.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 자동차 리콜 자동차 리콜문제는 올해 뿐만이 아니라 작년에도 자동차 결함의 문제는 이미 광범위하게 제기된 바가 있다. 2002년 7월 제조물책임법(PL법)이 도입된 데 영향을 받아, 제조업체들이 불량제품을 회수·교환 해주는 리콜건수가 사상 처음으로 100건을 돌파했다. 재정경제부가 2월 10일 발표한 '2002년 리콜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리콜 건수는 총 106건을 기록해 전년 66건 보다 6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96년 소비자보호법으로 리콜제도를 규정한 뒤 리콜 건수가 100건을 돌파한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품목별 리콜건수는 자동차 관련분야가 72건으로 가장 많았고, 식품분야 23건, 사무용품 및 스포츠용품이 11건에 달했다. 자동차의 경우 승용차 연료펌프 정류자 마모, 안전벨트 장력불량 등 69건을 자발적으로 리콜했고 승합차 좌석 고정장치 교환 등 3건은 정부로부터 리콜명령을 받은 뒤 리콜이 이뤄졌다. 업체별로는 현대·기아차가 뉴포터 1t 화물자동차에 제작결함이 확인돼 리콜을 실시한 것을 비롯, 대우 마티즈, 기아 카니발과 옵티마 등 국내 생산되는 자동차 대부분이 제품 결함에 따라 리콜 대상에 올랐다. 건교부에 따르면 작년 리콜된 차량은 국산 자동차가 34개 차종 97만9663대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수입자동차는 35개 차종 3661대로 집계됐다. 위해식품 폐기 등 식품분야 8건은 일반 리콜 명령을, 바이러스 오염 수입 오리육 등 위해식품 폐기 5건은 긴급 리콜명령을 각각 받았다. 재경부 관계자는 "2002년 7월부터 PL법이 시행되면서 소비자안전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높아졌다"며 "결함제품을 자발적으로 신속하게 리콜할 경우 품질관리를 중요시하는 기업이라는 긍정적 이미지를 줄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돼 리콜실적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중 자동차 분야의 초점을 맞춘다면, 자동차 리콜 대수는 2002년 사상 처음으로 연간 기준으로 10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2월 25일 업계와 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자동차 리콜 대수는 지난 92년 리콜제도가 처 음 도입된 후 10년만에 100만대를 돌파했으며 리콜 사유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자동차업체들이 리콜을 적극적인 사후서비스(A/S)로 인식을 바꾸고 있는 데다 수입차 리콜도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리콜이 확정된 대수는 업체별로 현대자동차가 23만211대로 가장 많고 쌍용차 15만8133대, 기아차 11만5320대, GM대우차 5만6369대, 르노삼성차 9120대 순인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40여만대는 리콜 대상이지만 아직 조사가 끝나지 않았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30만4006대, 레져용차량(RV)이 26만5147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 자동차리콜은 1997년만 해도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98년 7만7000대로 전년과 대비하여 두배 이상 증가하면서 99년 11만1000대, 2000년 54만4000대, 2001년 56만6000여대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 100만대를 넘어서는 등,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소비자보호원이 조사한 '2002년 실시 리콜 사례'를 보면, 현대 트라제 XG와 뉴EF 쏘나타가 각각 좌석 고정장치 강도 부족과 에어백 임의작동 등이 문제가 됐다. 기아차는 조향 바퀴의 브레이크 호스 조립 결함이 발생한 카렌스Ⅱ와, 안전벨트 스프링 장력 불량으로 되감기가 되지 않는 옵티마 리갈 등이 대표적인 리콜 사례로 꼽힌다. GM대우는 주행중 가속불량 현상이 나타나는 마티즈CVT, 쌍용차는 듀얼 선바이저 모 서리 반경 부분이 규제치에 미흡한 무쏘 등이 리콜 대상이 됐다. 전반적으로 리콜은 에어백과 브레이크, 안전벨트, 연료공급라인, 냉각수 등 '안전'과 직결되는 부품이 많았으나 점차 '편의 장비'로 확산되는 추세다. 리콜은 늘어났지만 잘 고쳐지지는 않아 그렇다고 리콜대상 차량의 시정률이 더 나아진 것도 아니다. 자동차 제작결함을 시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자동차 리콜 건수는 늘어났지만, 리콜대상 차량의 시정률은 오히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EF쏘나타 등 일부 차종의 시정률은 6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3월 23일 건설교통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리콜기간이 만료된 차량에 대한 리콜 시정률은 82.9%(대상 차량 55만2254대 중 49만285대)로, 2001년도(89.0%)보다 오히려 6.1%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차종별로는 현대자동차의 인기 모델인 EF쏘나타의 리콜 시정률이 가장 낮았다. EF쏘나타는 지난 1998년 3월부터 2000년 11월 20일까지 출고된 3605대가 측면 에어백 접촉 불량 등이 문제로 지적돼 2001년 11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리콜이 시행됐다. 하지만 대상 차량 중 1545대만이 시정 조치돼 시정률이 42.9%에 불과했다. 1999년 10월 25일부터 2000년 5월 3일까지 출고된 쌍용자동차 무쏘(자동변속기 모델)도 지난해 1월 7일까지 1년간 리콜이 실시됐지만, 시정률은 59.8%에 그쳤다. 이밖에 현대차 티뷰론(2000년 6월 12일~11월 1일 출고분 3658대)의 시정률이 60.1%에 그쳤고, GM대우자동차의 누비라II(1999년 11월 16일~2000년 8월 7일 출고분 3만4925대)의 시정률도 67.0%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건교부 관계자는 "리콜 시정률이 높지 않은 것은 운전자들이 자동차 안전에 관심이 높지 않아 리콜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리콜 시정률이 저하된 것은 자동차 회사들이 리콜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보다 큰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올해 리콜의 첫 주자는 '트라제XG' 2003년 들어 자동차 리콜의 첫 주자는 현대자동차. 2월 14일 건설교통부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 판매중인 트라제XG(디젤)에 제작결함이 확인돼 제작결함심사위원회의 심사평가를 거쳐 회사측에 리콜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건교부는 트라제XG 차량의 연료탱크 상단부에 설치된 트라제XG는 지난해도 두차례 리콜권고를 받은 바 있다. 이는 사실상 '강제리콜'이다. 강제리콜은 회사측이 자체 리콜계획을 제출하는 자발적 리콜과는 다르게 소비자들의 제작결함 지적에도 회사측이 리콜에 나서지 않을 경우 건교부가 제작결함조사와 제작결함심사위를 거쳐 리콜을 권고 또는 명령하는 것을 뜻한다. 건교부는 트라제XG 차량의 연료탱크 상단부에 설치된 통풍구로 연료가 흘러나오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리콜 대상은 2000년 10월1일부터 지난해 7월15일까지 생산된 4만4천840대며 2월 15일부터 1년6개월간 전국 현대자동차 직영 A/S센터나 지정 정비공장에서 무상으로 관련부품을 교환 및 수리받을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현대차는 그레이스 초장축 승합차와 스타렉스 단축 웨곤 등도 각각 뒷바퀴 브레이크 파이프가 다른 부품과 접촉해 파열될 우려가 있는 제작결함이 확인돼 리콜을 실시키로 했다. 리콜 대상은 그레이스 승합차는 2001년 9월19일부터 지난해 11월8일까지 생산된 7천298대, 스타렉스 단축 웨곤은 지난해 10월2일부터 같은 해 11월14일까지 생산된 4천460대 등이다. 한편 2월 18일, 르노삼성자동차는 SM5시리즈(518, 520, 520V, 525V) 승용차에서 가솔린 주입관과 연료탱크를 연결하는 부품인 연료 필러 호스의 고무 표면에 미세한 균열이 발견돼 자발적 인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리콜대상은 98년 생산된 1만5350대(3월28일~4월15일, 7월21일~8월27일)와 2001년 제작된 2만5165대 (8월16일~12월31일)등 총 4만515대로 이 기간동안 승용차를 구입한 고객들은 오는 20일부터 1년6개월동안 르노삼성차 전국 27개 직영사업소와 337개 협력 정비점에서 무상으로 부품을 교환받을 수 있다. 르노삼성차는 해당 부품이 자체 품질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데다 고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동일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부품을 무상 교체하는 자발적 리콜을 실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이번에 리콜을 실시하는 연료호스는 미세한 표면균열의 자연적인 추가 진전에 따른 사고발생 위험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현재까지 단 한 건의 클레임도 없었으나 예방차원에서 종전 삼성차 시절 제작된 차량까지 모두 포함시켰다"고 말했다. 3월 31일, 건설교통부는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판매한 카니발Ⅰ에 제작결함이 확인돼 회사측에 리콜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 또한 강제리콜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난 2월 트라제XG에 이어 올들어 두 번째다. 건교부는 카니발Ⅰ 차량의 재순환용가스 환기용 호스와 엔진오일 레벨게이지 불량으로 엔진(피스톤 라이너) 등이 파손되는 결함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리콜대상은 지난 97년 12월8일부터 2000년 9월22일까지 생산된 총 10 만331대로 4월 1일부터 1년6개월동안 기아차 전국 직영 A/S 사업소에서 무상으로 관련부품을 교환 및 수리받을 수 있다. 4월 10일, 건설교통부는 현대자동차 및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판매 중인 뉴 EF쏘나타, 카니발Ⅱ, 카렌스Ⅱ, 리오 등 총 2만7473대에 제작결함이 발생해 제작사에서 자발적으로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리콜의 사유는 ABS(Anti Lock Brake System)를 장착한 자동차가 브레이크 작동때 소음이 발생하거나 스펀지현상(제동페달이 깊게 들어가는 상태)가 발생해 제동거리가 길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대상 차량은 ABS가 장착된 뉴 EF쏘나타 가운데 지난해 11월 25일부터 올해 2월 18일까지 생산된 차량 1만6718대 ○카니발Ⅱ는 지난해 11월 27일부터 올해 2월 20일까지 생산된 7775대 ○카렌스Ⅱ는 올 1월 8일부터 3월 3일까지 출고된 2829대 ○리오는 지난해 12월 5일부터 올 2월 20일까지 생산된 차량 151대다. 해당 차량은 4월 11일부터 1년 6개월간 현대 및 기아자동차 전국 직영 애프터서비스 사업소에서 무상으로 ABS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교정해준다. 4월 21일, 건설교통부는 GM대우자동차에서 생산·판매하고 있는 라세티와 칼로스 승용차에 각각 제작 결함이 확인돼 회사측이 리콜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라세티는 엔진을 차체에 고정해 주는 지지 볼트 내구강도가 떨어져(볼트파손 등) 유동소음이 발생하고, 충돌사고가 났을 때 안전사고 염 려가 있기 때문에 리콜한다고 건교부는 설명했다. 또한 칼로스는 변속기 제어케이블이 변속기 외부에 있는 엔진운반용 고리에 접촉돼 주행중 경고등이 켜지거나 변속불량이 발생하는 결함이 확인됐다. 리콜대상은 라세티가 2002년 11월 26일부터 2003년 2월 17일까지 생산된 8010대며 칼로스는 2002년 11월 19일부터 2003년 3월 4일까지 생산된 862대다. 해당 차량은 4월 24일부터 1년6개월 동안 GM대우차 전국 직영 애프터서비스(AS) 영업소에서 무상수리를 받을 수 있다. 건교부 관계자는 "자동차 제작사들이 소비자들의 잇단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리콜 등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지 않을 경우 앞으로 정부 주도의 제작결함조사와 리콜 권고 및 명령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대로 가면 대미 자동차 수출도 장담못해" 국산 자동차의 리콜 사태가 우후죽순격으로 잇따르는 가운데, 4월 23일 한국무역협회는 미국의 자동차리콜강화법(TREAD Act) 시행에 따라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수출업체의 주의가 요망된다고 밝혔다. 자동차리콜강화법에 따르면 미국에서 판매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자동차,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업체는 자동차 및 부품의 결함과 관련 있는 미국내 사망사고나 심각한 상해에 대해 미국교통안전국(NHTSA)에 신속히 보고해야 한다. 이에 따라 국내 자동차 및 부품 업계도 각종 서류업무 비용 증가, 민형사 처벌 위험, 영업비밀 유출, 납품업체와의 관계 악화, 소비자 클레임 증가 등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무역협회는 설명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특히 중소기업들은 자동차리콜강화법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제조 및 판매 과정에서 이와 관련한 직원 교육 및 데이터관리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역협회는 자동차리콜강화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이날 오후 2시 미국의 자동차 제조물책임법 전문 변호사를 초청해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처럼 대내외적으로 빈발하고 있는 자동차 리콜 사태에 대해 건교부 관계자는 "자동차 제작사들이 소비자들의 잇단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리콜 등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지 않을 경우, 앞으로 정부 주도의 제작결함조사와 리콜 권고 및 명령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