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00대 기업 조사 결과

신규채용이 없거나, 채용규모를 늘리지 않는 이유. ⓒ한국경제연구원
신규채용이 없거나, 채용규모를 늘리지 않는 이유. ⓒ한국경제연구원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국내 대기업의 70%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을 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준비생들의 고민이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1년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여기에 따르면 신규채용 계획 미수립 기업은 54.5%, 신규채용 ‘0’인 기업은 13.3%였다. 즉 대기업의 67.8%는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한 명도 채용하지 않겠다고 답한 것이다.

한경연 관계자는 “신규채용 계획이 없거나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기업 비중이 전년 동기(74.2%)보다 다소 줄긴 했지만, 작년에 코로나19 사태로 국내외 경기가 워낙 좋지 않았던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라며 “최근의 코로나 4차 대유행의 기세를 감안하면 채용시장의 한파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에 대해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악화(32.4%) ▲고용경직성으로 인한 기존 인력 구조조정 어려움(14.7%)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부담 증가(11.8%) 등을 답했다. ▲‘기타’(32.3%) 의견으로는 ‘기업 내 수요 부족’(90.9%)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대기업 비중은 32.2%로, 이 중 작년보다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은 53.8%, 채용규모가 작년과 비슷한 기업은 35.9%, 작년보다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은 10.3%로 조사됐다.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회사가 속한 업종 경기 호전 전망(38.1%) ▲경기 상황에 관계없이 미래 인재 확보(33.4%) ▲대기업이 신규채용을 늘려야 한다는 사회적 기대 부응(9.5%) ▲ESG·4차 산업혁명 등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에 대한 인력수요 증가(9.5%)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하반기 채용시장 변화 전망에 대해 ▲언택트 채용 도입 증가(24.3%)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경력직 채용 강화(22.5%) ▲수시채용 비중 증가(20.3%)를 주목했다. 이 외에도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인재채용 증가(9.4%) ▲인공지능(AI) 활용 신규채용 증가(8.7%) ▲블라인드 채용 확산 등 공정성 강화(7.2%) 순으로 올해 하반기 채용시장 변화를 내다봤다.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ESG 관련 인재를 채용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도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하반기 ESG 관련 인재를 채용할 계획이 있는 기업은 25.6%로, 조사를 시작한 상반기(14.5%) 보다 11.1%p 증가했다. 전체 채용규모 대비 ESG 인재 채용규모 비율을 보면, ▲0%이상 2%미만(51.6%) ▲4%이상 6%미만(22.6%) ▲2%이상 4%미만(9.7%) ▲8%이상 10%미만(9.7%) ▲10%이상(3.2%) ▲미정(3.2%)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ESG 인재 채용을 하지 않는 기업은 74.4%로, 그 중 32.2%는 재교육, 부서이동 등 기존 인력을 활용해 ESG 이슈를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는 ▲구체적인 대응 계획 없음(28.9%) ▲現ESG 관련 인력 유지(27.8%) ▲외부 컨설팅 기관 활용(5.6%) 순으로 응답했다.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기 위해 정부와 국회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노동, 산업 분야 등 기업규제 완화(38.8%)를 가장 필요하다고 지목했다. 그 다음으로 ▲신산업 성장 동력 육성 지원(25.6%)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4.0%) ▲정규직‧유노조 등에 편중된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5.8%) ▲진로지도 강화, 취업정보 제공 등 미스매치 해소(5.0%) 순으로 꼽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최근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으로 실물경제 회복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청년 고용시장은 여전히 안갯속”이라며 “청년실업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규제 완화, 고용유연성 제고 및 신산업 분야 지원 확대 등으로 기업들의 고용여력을 확충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