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CEO와의 만남 행사 대신 ‘랜선 신년식’ 개최
LG유플러스·SK텔레콤도 언택트로 신년 메시지 전달

구현모 대표가 라이브 랜선 신년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KT
구현모 대표가 라이브 랜선 신년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KT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시무식도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이동통신 3사가 탈(脫)통신 행보를 이어갈 전망이다.

4일 KT는 매년 새해 첫 출근 날 진행해온 ‘새해 출근길 최고경영자(CEO)와의 만남’ 행사 대신 서울 광화문 KT 이스트빌딩에서 구현모 대표와 최장복 노조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직원 50여명과 ‘라이브 랜선 신년식’을 개최했다.

이날 신년식은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디지코(Digico)’를 주제로 진행됐다. 구 대표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디지코, Digico)으로 전환해 고성장 신사업에 도전할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완벽히 차별화된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의 강점을 경쟁력으로 미디어·콘텐츠, 로봇, 바이오 헬스케어 등 신사업에 도전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설명이다. 또 고객이 우리가 일하는 방식의 출발점이고 기준이라고 강조하며, 경영 키워드로 ‘고객 중심 사고’와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꼽았다.

구 대표는 “고객의 삶의 변화와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해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KT의 숙명”이라며 “KT는 통신 사업자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당당하고 단단하게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이 영상메시지를 통해 신년메시지를 말하고 있다. ⓒLG유플러스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이 영상메시지를 통해 신년메시지를 말하고 있다.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도 이날 최근 신규 취임한 황현식 사장의 신년메시지를 온라인으로 전달했다.

이번 신년메시지 영상에서 황현식 사장은 임직원들과 함께 만들어나가고 싶은 유플러스의 모습을 문답식으로 풀어냈다. 황 사장은 새로운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사업방식이란 사업의 본질인 고객가치 개선에 더욱 집중하고 그 가치를 고객이 알아주는 성장방식을 말한다.

황 사장은 “양보다 질을 중요하게 생각해 통신사업의 본질인 고객가치 개선에 집중하고, 고객이 주변에 우리의 서비스를 알리는 ‘찐팬’을 만들어야 한다”며 “고객이 원하는 것을 정교하게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타깃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끄집어낼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영업도 고객가치를 전달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해 가야 한다”며 “가격을 중요하게 소구했던 영업방식과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신사업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황 사장은 “통신사업에서는 질적 성장 체계를 탄탄히 하는 동시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가야 한다”며 “컨슈머사업에서는 경쟁력 있는 콘텐츠와 고객의 데이터를 통해 광고·구독형서비스 등 연관사업으로 확장하고, 기업사업에서는 스마트팩토리·자율주행 등의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솔루션을 확보해 사업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SK텔레콤은 이날 오후 박정호 사장의 온라인 타운홀미팅을 통해 사내 임직원에게 올해 회사 운영 방향성 등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이미 지난해 연말 조직개편에서 핵심 기술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들을 과감히 AI 중심으로 재편해 AI빅테크·마케팅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가장 큰 매출을 담당하고 있는 ‘MNO사업부’는 9개 핵심 사업·Product에 주력하는 마케팅 컴퍼니로 크게 재편됐다. 9개 컴퍼니는 모바일, 구독형상품, MR(혼합현실)서비스, 클라우드, IoT, 메시징, 인증, 스마트팩토리, 광고/데이터로 모두 조직명에 CO(Company)가 붙는다.

SK텔레콤은 언택트 시대를 맞아 MNO 사업부의 온라인 서비스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Untact CP’를 신설했으며, 효율적인 5G 인프라 투자 및 운용을 위해 별도 조직이었던 ‘ICT Infra센터’도 MNO사업부 산하로 이동시켰다.

당시 박정호 사장은 “포스트 팬더믹 시대를 기회로 삼아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일하는 문화 ‘Work Anywhere’를 정착시키겠다”며 “핵심 사업과 Product를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했으며, AI가 모든 사업의 기반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