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9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발표
50대 22만개·60세 이상 일자리 34만개 증가

한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공고를 확인하고 있다. ⓒ시사포커스DB
한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공고를 확인하고 있다.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우리나라 경제의 허리를 맡고 있는 40대의 일자리가 지난해 5만개 가까이 감소한 가운데 60세 이상 일자리는 34만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 해 동안 증가한 일자리가 60만개인데 이중 절반 이상이 ‘노인 일자리’인 것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19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일자리는 총 2402만개로 전년(2342만개)보다 60만개 증가했다. 이 중 40대 일자리는 601만개(25.0%)로 여전히 가장 많았으나 전년보다 5만개 줄어들었다. 지속 일자리는 5만개 늘었으나 신규 채용 일자리가 1년 사이 10만개 쪼그라들었다.

30대 일자리는 517만개(21.5%)로 전년보다 2000개 늘어났다. 3040세대는 국내 일자리 절반에 육박하는 46.5%를 차지하는 경제 허리 세대인데, 이들 세대의 일자리가 전년 대비 4만8000개 감소한 것이다.

반면 50대와 60세 이상의 일자리는 56만개나 늘었다. 특히 60세 이상은 정부의 공공일자리 정책 효과로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분야를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었다.

40대 일자리는 2016년 614만개, 2017년 611만개, 2018년 606만개로 매년 감소해왔다. 30대 일자리 역시 2016년 533만개, 2017년 525만개, 2018년 517만개로 줄다가 지난해 2000개 증가했다.

김진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보건이나 사회복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일자리가 많이 늘어난 것”이라며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공일자리 사업이 확대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30~40대의 일자리 감소의 기본적인 원인은 인구 감소”라며 “여기에 건설업과 제조업 일자리가 크게 감소한 것이 영향을 줬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연간 일자리 2402만개 중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1794만개(74.7%)이고,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286만개(11.9%), 기업체생성 또는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일자리는 322만개(13.4%)로 나타났다. 기업체 소멸 또는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일자리는 262만개였다.

회사법인이 1140만개(47.5%)의 가장 많은 일자리를 제공했고, 개인기업체(31.3%), 정부?비법인단체(11.3%), 회사이외 법인(9.9%) 순으로 일자리를 제공했다. 개인기업체 18만개, 회사이외 법인 16만개, 정부?비법인단체 16만개 순으로 증가했다.

일자리형태별로 살펴보면, 지속일자리 비중은 정부?비법인단체(80.4%)에서, 대체일자리 비중은 회사법인(14.4%)에서, 신규일자리 비중은 개인기업체(19.6%)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자가 점유한 일자리는 1392만개(57.9%)로 여자 1010만개(42.1%)의 1.4배 수준이지만 전년대비 여자의 일자리는 34만개 증가(3.4%)해 남자의 일자리 27만개(1.9%)보다 많이 증가했다. 지속일자리는 남자가 59.3%, 여자가 40.7%였고, 신규채용일자리는 남자가 53.9%, 여자가 46.1%였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