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3개월째 아파트거래량 보다 다세대·연립거래량이 더 많아…“기현상”
7월 거래량 급증 12년 만에 최고치 기록, 8·9월 하락하다 10월 다시 반등
“실거주·투자 수요 함께 늘어난 것, 아파트서 역세권 다세대·연립으로 눈돌려”
정부·여당 규제가 만든 아파트 임대주택 및 전세대출 제한 틈새에 뉴 투자처 주목

다세대·연립 주택가 전경 ⓒ시사포커스DB
다세대·연립 주택가 전경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내집 마련 광풍이 아파트에서 다세대·연립주택으로 번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세법을 개정하는 등 집값 잡기에 혈안이 됐지만 진정세가 보이지 않고 전세난에 일어난 현상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이 아파트 거래량을 추월하는 현상이 3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3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다세대·연립주택 매매 건수는 총 4천590건으로, 전달(4천12건)과 비교해 14.4%(578건) 증가했다. 올해 다세대·연립주택 매매는 5월까지 5000건을 밑돌았다. 패닉바잉 현상이 나타난 지난 7월 급증해 7월 7287건으로 지난 2008년 4월 7686건을 제치고 12년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8월과 9월에는 각 4219건, 4012건으로 연속 감소했지만 10월 다시 반등한 것. 

또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은 올해 들어 4월을 제외하면 모두 아파트 거래량에 뒤졌는데, 9월 4천12건으로 아파트 거래량(3천767건)을 처음 앞질렀고, 10월도 4천590건으로 아파트(4천339건)보다 많았다. 11월도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이 아파트 거래량을 앞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KB국민은행 부동산 조사에서 서울의 연립주택 평균 매매가격은 올해 8월 3억113만원으로 처음으로 3억원을 넘겼고, 9월 3억300만원, 지난달 3억673만원으로 매달 상승하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다세대·연립주택 매매증가는 실수요와 투자수요가 함께 늘어난 영향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투자수요의 경우 정부 부동산 대책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6·17대책에서는 규제지역 3억 원이상 아파트 전세자금 대출 제한으로 다세대·연립주택으로 갭투자 선회, 7·10대책에서는 민간 임대 주택사업 등록제도에서 아파트는 제외키로 하면서 다세대·연립주택, 원룸 등은 혜택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런 영향이 다세대·연립주택 매매세를 부추긴 것으로 풀이된다. 

KB국민은행이 30일 밝힌 월간 KB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191.8) 보다 서울지역 전세수급지수가 0.5포인트 상승한 192.3으로 집계 됐다. 전세수급지수는 1~200으로 표현 되는데 전세공급이 낮을 수록 수치가 높고 낮을 수록 수요부족이다. 190을 넘은 것은 지난 2015년 10월 이후 5년만에 지난달이 처음이었다. 

정부와 여당이 추진한 계약갱신권 청구제도로 눌러 앉는 세입자가 늘었고 집주인이 전세매물을 거둬 들이면서 공급부족이 심화 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같은 내용을 종합하면 전세매물 부족현상이 다세대 ·연립주택 매매 현상으로 번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거래량이 통상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보다 2~3배 가량 많은데 올해는 아파트보다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이 소폭 많은 기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며 “올해는 7월 이후 전세공급이 부족하고 전세가가 상승해 이사를 고민하는 아파트 세입자가 역세권이나 입지가 좋은 다세대·연립주택을 구매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또 시중에 풀린 현금들이 투자처를 찾다가 다세대·연립주택으로 방향을 선회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다세대·연립주택을 구매후 향후 매도시 지금과 같은 거래환경이 꼭 보장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파트를 살 때보다 더 고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