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종전선언 추진해 평화체제로 전환해야“
국민의힘 "종전선언, 핵 보유국 위치 인정하는 역효과 올지도“
주미대사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 의미"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주미대사관에 대한 국정감사가 열리고 있다. ⓒ뉴시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주미대사관에 대한 국정감사가 열리고 있다.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12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주미국대사관 국정감사는 '종전선언'이 주요 이슈가 되었으며, 민주당은 “미국 의회에서도 공감대 형성되어 있다”며 “남북관계 어수선하나 종전선언 추진해 평화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국민의힘은 “북한은 종전과 비핵화는 별개로 본다”며 “비핵화 아닌 북한을 사실상 핵 보유국 위치 인정하는 역효과 올수도 있다”고 “위험한 발상”이라며 여야가 공방을 벌였다.

이날 국회 외통위 국감에서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은 “북한의 입장은 종전과 비핵화는 별개”라며 “종전선언을 비핵화 흥정물로 삼지 말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처럼 계속 종전선언을 주장하면, 핵 협상 시작부터 종전선언이 어젠다(의제)가 된다면 북한에 시간 벌이가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하며 “북미 협상을 비핵화가 아니라 종전선언으로 몰고 갈 수 있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기현 의원은 "종전선언은 우리가 가진 협상의 무기다. 협상 무기를 적절하게 활용해서 북한 비핵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진전된 조치를 끌어내면서 종전선언이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상대방은 동네 깡패가 돼서 온갖 무기를 선보이고 총칼로 무장하고 평화하자고 손을 내밀었는데 우리는 칼을 가지고 협상해서 되겠느냐"며 꼬집었다.

박진 의원은 "북한이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일방적으로 폭파하고, 우리 해양수산부 공무원을 사살하고 소각하는 반인륜적 범죄를 저지르고 있어서 아무리 문재인 정부가 종전선언을 외쳐도 북한은 물론이고 국제사회도 호응이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종전선언은 비핵화를 돕는 게 아니라 오히려 북한에 사실상 핵 보유국 위치를 인정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고, 가장 중요한 주한미군 철수론의 명분을 줄 수 있기에 한반도 안보가 더욱 위태로워 진다"고 질타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은 "미국은 미 하원의원에서 모든 당의 합의로 (한국전쟁 종전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한 바 있다"며 "전반적인 분위기가 무르익었다는 생각을 갖기에 충분하다"고 말하며 "국방 태세 강화를 위해서 정전체제를 끝내는 것 역시도 다각적인 모색이 가능하고, 그 이상의 체제를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주장했다.

같은 당 김태년 의원은 “구시대적 분단체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며 “북미가 교착상태라고 손 놓고 있어선 안 된다”며 "(남북관계가) 어수선한 게 사실이지만 뚝심을 가지고 종전선언을 추진해서 평화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 “이미 4·27 판문점선언, 9·19 평양공동선언을 통해서 양 정상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이끌기로 합의한 바 있다”며 “종전선언은 마침표가 아니라 평화로 가는 대장정에 있어서 입구에 해당하고, 입구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낙연 의원은 “남북 관계나 우리 대북정책을 대하는 야당을 포함한 보수 세력의 태도를 보면서 늘 안타깝게 생각하는 게 있다”며 "과거 업적과 성취를 존중하고 계승하려는 자세를 가져야한다"고 야당 의원들을 질타했다.

한편 국감에 참석한 이수혁 주미대사는 "종전선언이 곧 평화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다"고 말한 반면 "정부는 중요한 프로세스라고 인식하고 있고, 단절된 상황에서 종전선언을 빨리해서 평화프로세스 기반을 구축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하며 "종전선언은 목표가 아니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비핵화 과정에 있는 정치적 선언 의미를 가진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이 대사는 “미국도 종전선언에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며, "북한이 "(종전선언이) 비핵화로 가는 길이라는 점에 있어서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이) 쉽게 결정할 수 없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며 북한의 핵 보유국 인정 문제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북한의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 등장한 ICBM 등 신형무기에 대해 "힘을 과시하기 위한 데몬스트레이션(시위)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그 무기가 사용되지 않고 언젠가 폐기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