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먹인 김종인 “너무 늦게 찾아왔다. 부끄럽고 죄송해…유족들께 사죄”

[광주ㆍ호남 / 박영용 기자]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광주 5.18 민주묘역을 방문해 무릎을 꿇고 참배했다.
[광주ㆍ호남 / 박영용 기자]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광주 5.18 민주묘역을 방문해 무릎을 꿇고 참배했다.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광주광역시에 있는 국립 5·18민주묘지를 방문해 보수정당 당 대표 중 처음으로 무릎을 꿇고 참배했다.

비대위원장 취임 이후 처음 광주를 찾은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5·18민주묘지에서 방명록에 ‘5·18 민주화 정신을 받들어 민주주의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적은 뒤 기자들과 만나 “너무 늦게 찾아왔다. 백번이라도 사과하고 반성했어야 마땅한데 이제야 첫걸음을 뗐다”며 “부끄럽고 죄송하다”고 입장을 내놨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그는 울먹이는 목소리로 “호남의 오랜 슬픔과 좌절을 쉽게 어루만질 수 없다는 것을 안다”며 “광주 시민 앞에 이렇게 용서를 구한다. 5·18 묘역에 잠든 분들의 명복을 빌고, 유족들께 깊은 사죄를 드린다”고 말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5·18 당시 자신의 행적까지 직접 거론하면서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된 1980년 5월17일 저는 대학 연구실에 있었는데 학생들의 시위가 중단될 것이라는 발표를 듣고 강의를 준비하던 중이었다”며 “광주에서 발포가 있었고 희생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시간이 지난 뒤에야 알게 됐는데 위법행위에 직접 참여도 문제지만 알고도 침묵하고 눈감은 행위, 적극 항변하지 않은 소극성 역시 적잖은 잘못”이라고 자성하기도 했다.

한 발 더 나아가 그는 신군부가 만든 국보위에 참여했던 자신의 과거도 꼬집어 “용서를 구했지만 상심에 빠진 광주시민,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국민들에게는 쉽게 용납하기 어려운 선택이었다”며 “다시 한 번 이에 대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거듭 용서를 구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광주에서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음에도 그걸 부정하고 5월 정신을 훼손하는 일부 사람들의 어긋난 행동에 우리 당은 엄정한 회초리를 들었다‘며 ”그동안 잘못된 언행에 당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도 강조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산업화와 민주화는 우리를 지탱하는 소중한 양대 기둥으로 어느 하나도 간단하게 부정할 수 없다. 자랑스러운 역사의 과정에서 적지 않은 희생과 고통이 따른 것도 사실인데 그게 상처로 남아 아직 낡은 이념 대립을 계속하며 사회 통합과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며 “가해자의 통렬한 반성과 고백을 통해 (통합이) 완성되지만 권력자의 성찰을 마냥 기대할 수 없는 형편에서 그 시대를 대표해 무릎을 꿇는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추모탑에 헌화한 뒤 실제로 무릎을 꿇고 참배했고, 5·18 민주화 운동 당시 시민군 대변인인 고(故) 윤상원 열사와 박관현 열사, 행방불명자 묘역도 돌았는데, 그가 5·18민주묘지를 찾는 과정에서 일부 시민들은 김 위원장에게 “사죄하러 왔으면 망언 의원부터 제명해야 하지 않나”라고 일갈하기도 했다.

영상취재촬영/ 광주호남/ 박영용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