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홍콩보안법 관련 미중 갈등과 우리 수출 영향’ 발행

2018년 12월 1일 아르헨티나에서 있었던 미·중 정상 만찬 회동 후 무역갈등은 휴전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만찬회동에 참가한 트럼프와 시진핑. ⓒ뉴시스
2018년 12월 1일 아르헨티나에서 있었던 미·중 정상 만찬 회동 후 무역갈등은 휴전하기로 결정했고 다시 두 나라는 홍콩의 자유화에 대한 의견차에따라 강대강으로 대치하면서 경제냉전을 택했다. 2018년 미·중 무역갈등 휴전 당시 만찬회동에 참가한 트럼프와 시진핑. ⓒ뉴시스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중국이 28일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홍콩특별구에 국가안전법의 집행을 유지하기로 했고 미국은 29일 이에 대한 조치로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를 박탈했다. 이로써 미·중간 새로운 경제 냉전 국면이 형성 됨에 따라 홍콩을 통한 대중국 수출에 차질이 불가피 해졌고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지난 29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보고서는 홍콩 물류 및 금융허브 기능이 상실되면 중계무역에 의존하는 한국은 수출에 큰 타격을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홍콩은 총 수입 중 89%를 재수출하는 중계무역 거점이며 총 수입의 50%가 중국으로 재수출 되는 대중국 수출 거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홍콩은 한국의 수출대상국 중 중국, 미국, 베트남에 이어 4번째다.

홍콩은 중계무역 기지로서 전략적 가치가 높다. 또 미국 달러와 자유로운 교환 할 수 있는 안정된 환율제도와 법인세 등 세제상 이점 등으로 금융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런 홍콩의 이점이 약화 되면 단기적으로 홍콩 경유 중국 재수출 비중이 98.1%에 달하는 한국 입장에서는 중국으로 직수출 전환이 불가피해진다. 특히 소비재 분야에서는 통관·검역이 중국이 홍콩보다 더 까다롭기 때문에 통관시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중의 강대강 대치가 지속된다면 홍콩의 금융·물류 허브 기능 상실돼 부정적영향을 더 확대될 전망이다.

최악의 경우 중국계 홍콩판매법인 철수 및 금융 허브로서의 기능이 상실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미국의 대중 제재가 지속되면 시스템에 이어 메모리 반도체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보고서에서 밝힌 긍정적 효과로는 중국의 대미수출이 막히면 한국이 대미수출에서 상대적 경쟁 우위 확보 가능성이 열린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