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물류업계 “철강제조는 포스코가, 물류는 물류전문업체가” 주장
김인현 교수, “포스코, 상법상 해운업 진출 맞아”
최두영 항운노조위원장, “한노총 주요의제 상정해 전국단위 공동대응 가능”

최정우 포스코 회장, “물류통합사 해운·운송업 진출 오해, 소통 부족 시인”

해운·물류업계는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소재 포시즌즈 호텔에서 '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관련 해양산업계 합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강민 기자)
해운·물류업계는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소재 포시즌즈 호텔에서 '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관련 해양산업계 합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강민 기자)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철강제품을 운반하고 빈 선박으로 돌아오는 것보다 곡물 등을 싣고 돌아오면 효율이 증가한다는 취지의 포스코 관계자의 발언을 들었다. 해운업 진출한다는 이야기다"

강무현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장이 19일 서울 종로구 소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관련 해양산업계 합동 기자회견'에서 한 말이다. 강 회장은 포스코 관계자와 물류 자회사 설립 의도에 대해 깊은 이야기를 나눈 바 있고 그 과정에서 나온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이는 포스코가 그동안 주장했던 '해운업 진출은 아니'라고 했던 주장과 전면으로 배치된다. 

포스코는 지난 8일 이사회에서 그룹 내 산재한 물류업무를 통합해 효율성과 전문성을 강화를 위해 물류자회사 포스코GSP(가칭)를 설립하기로 의결했다. 해운·물류업계는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 움직임에 지속적으로 철회할 것을 전달했지만 포스코는 "해운업 진출이 아니고 산재된 물류 업무를 통합 관리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여한 단체들은 포스코의 물류비가 매출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4%로 국내 제조 대기업 평균인 6.6%보다 낮은 점에 대해 강조했다. 아울러 포스코가 물류자회사를 설립하면 컨테이너 운송 시장은 일부 대기업이, 벌크 화물 운송 시장은 포스코와 한전, 가스공사 등 에너지공기업이 지배하는 등 물류 전문기업의 생존이 위태롭다고 주장했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강무현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장△김영무 한국선주협회 △김인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염정호 한국해운중개업협회장(이상 첫번째줄, 좌에서 우로) △이태하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 국장 △임병규 한국해운조합 이사장 △임현철 한국항만물류협회 상근부회장 △최두영 전국한국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이상 두번째줄, 좌에서 우로, 이름순)이 참석해 발언했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강무현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장△김영무 한국선주협회 △김인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염정호 한국해운중개업협회장(이상 첫번째줄, 좌에서 우로) △이태하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 국장 △임병규 한국해운조합 이사장 △임현철 한국항만물류협회 상근부회장 △최두영 전국한국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이상 두번째줄, 좌에서 우로, 이름순)이 참석해 발언했다.

강 회장은 "물류 통합 효율화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물류 통합은 내부적으로 하면 될 일인데 독립된 법인을 설립한다는 점이 해운·물류 업계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며 “포스코 물류 자회사 설립에 대한 입장은 이번 회견 한 번으로 끝내지 않고 지속적으로 의견을 피력할 것. 대화를 지속한다면 무리해서 자회사를 설립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고 덧붙였다.

강 회장은 본지와 현장인터뷰에서 포스코가 이같은 의견을 무시하고 자회사 설립을 강행하면 어떤 대처를 할 것이냐는 질문에  “포스코도 해운업계에 움직임을 심각하게 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대화로 해결방안을 찾아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인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포스코의 물류자회사는 해운법으로 보면 해운업 진출이 아니지만 상법에서는 해운업에 진출한게 맞다"고 밝혔다. 91년 상법 개정 당시 선박이 없어도 화주와 운송이 계약이 가능하게 된 점을 예시로 들었다.

그는 이어 "대형화주는 물류업무를 병행하지말고 국내 해상기업이 튼튼할 수 있도록 돕는게 장기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이다. 국내 해운회사를 UPS나 FEDEX 같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종합물류회사로 성장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면 운송료 인하 등 상생의 길이 열릴 수 있다"며 "또 다른 방안으로 선박공여제도를 도입해 화주도 선박에 대한 일부 책임을 지면서 해운사 재무구조에 도움을 주게 되면 글로벌 물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화주와 선주의 체질개선과 관련 업계에 대한 정의를 다시 하는 용어개선 등의 절차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했다.

최두영 전국항운노동조합연맹 위원장은 "해운·운송 사업자의 고혈을 짜겠다는 의도로 동반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철강제조는 포스코가, 물류는 물류전문가에게 맡겨 국내 철강제조 1위 기업의 품위를 지키길 바란다. 사태가 진정되지 않으면 한국노총 주요의제로 상정해 전국단위 공동대응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라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파업 등 실력행사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현재는 고려하고 있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임현철 한국항만물류협회 상근부회장은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은 대기업의 골목상권 침해와 같은 것으로 비전문가가 전문가의 영역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임병규 한국해운조합 이사장은 "해운경기가 침체에 코로나19로 가뜩이나 어려운데 포스코 물류 자회사 설립은 설상가상이다. 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으로 장기 운송계약 체계가 불투명해지고 선주들도 투자여력이 약화 돼 건전한 해운산업 발전을 저해한다는 우려가 있다. 포스코의 태도변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서로 잘하는 부분에 투자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상생 방안을 마련이 시급하다. 물류는 물류전문가에게 맡기고 포스코는 전문분야에 투자해 글로벌 철강산업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이태하 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 국장은 "저가경쟁이 극심한 해운업계에서는 고용불안을 호소하는 등 노사갈등의 조짐이 보이고 있는 상태인데 포스코 물류자회사라는 슈퍼갑의 탄생은 노동환경 악화를 부추긴다"고 반대의사를 밝혔다.

한편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지난 15일 성윤모 장관이 주재한 포스트 코로나 산업계 전략 대화 자리에서 “포스코가 물류통합 계열사를 통해 마치 운송업이나 해운업을 하는 것처럼 알려졌는데 오해가 빨리 풀리면 좋겠다”며 “사전에 이해관계자들과 소통을 제대로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