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전 10시 20분경 38명 희생자 중 26명 화장해 이천시 시립 추모의집에 임시안치
18일부터 이천시 78개 단체 범시민 추모위원회 구성 유가족 지원 나서
사고 당일 페인트, 우레탄폼 발포, 용접공사 동시 진행해 실내에 꽉 찬 유증기에 불 붙었다 생존자들 주장

지난 4월 29일 이천시에서 발생한 물류창고 화재 사망자들 임시안치 장면. 사진 /고병호 기자 

[경기북부 / 고병호 기자]18일 경기 이천시에서 발생한 물류창고 화재 희생자 38명 중 26명의 희생자들을 화장해 이천시가 운영하는 납골당 이천 추모의집에 어제인 17일 오전 10시 26분경 임시안치한 후 이천시에서는 78개의 사회단체로 구성된 ‘범시민 추모위원회’가 본격적으로 유가족들의 재정, 장례, 상담, 구호 등의 지원에 나섰다.

이뿐만이 아니라 이천시(시장 엄태준)는 사고발생 다음날인 지난 4월 30일부터 합동분향소가 마련된 서희청소년문화센터에 6급 이상 공무원 38명을 전면 배치해 전담하여 유가족을 지원하는 행정을 9개반을 편성해 진행하고 엄태준 시장의 집무실도 마련해 엄 시장이 직접 진두지휘 및 유가족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고에 현장 시공책임과는 선을 그으면서 도의적 책임을 강조해 온 발주처 한익스프레스나 사고발생 당시 유가족 앞에 무릎을 꿇고 사죄하던 시공사 건우 측은 희생자 납골당 임시안치에도 전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으며 현재 유가족 측 변호사들과 보상 협의만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번 사고는 지난 2008년 이천시에서 발생한 사고와 흡사한 화재로 당시에 40명 사망과 9명 부상이 이번에는 38명 사망, 부상 10명으로 희생자 숫자만 다르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이러한 비난은 그 당시 정부가 이처럼 참혹한 대형참사를 예방, 방지하기 위해 사고 이후 ‘유해, 위험 방지계획’을 도입했으나 무용지물이라는 여론이 거세게 일고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미 이를 관리 감독하는 정부기관에서는 발주처의 한익스프레스 측에게 지난 2019년 4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6차례나 화재, 위험(발생)주의와 안전성과 관련된 심사에서 가장 위험수준의 1등급을 판정하고 2020년 1월에도 ‘향후 우레탄폼 판넬 작업시 화재 폭발위험 주의’를 경고하고 조건부 적정판단을 내린 사실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기관 측은 이러한 판단만 내렸을 뿐이지 발주처와 시공사가 제출한 착공 15일 전까지 기계설비의 배치도면이나 제조공정, 안전성 확보 대책 등이 포함된 현장의 위해, 위험 방지계획을 준수하고 있는지 관리감독을 소홀히 하고 현장에 안전관리자 배치조차 한 달 동안 본 적이 없었음을 유가족들은 맹비난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존자들과 유가족들에 따르면 지난 4월 29일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할 당시 안전장치와 공사현장에 환기시설이나 비상구가 없어 희생자가 더 컸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생존자들은 부실시공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작업장에서 엘리베이터 도색작업과 도장작업 및 우레탄폼 단열작업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었다는 증언과 함께 이날 작업공정에는 우레탄폼 발포와 페인트 작업이 용접과 진행되는 것은 예견된 대형참사를 스스로 일으킨 것이라고 증언했다.

지난 4월 29일 이천시에서 발생한 물류창고 화재 현장. 사진 /고병호 기자 

그 이유는 페인트, 우레탄폼 등에서는 석유성분의 유증기가 발생해 밀폐된 공간에서는 공기 내에 정전기만으로도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음에도 용접공사까지 진행한 것은 발주처 한익스프레스와 시공사 건우가 6월 30일까지 준공검사를 맞추려고 무리하게 작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발생한 사고로 분명 시방서나 계획서에는 이러한 공정이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생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물류창고 내 냉장고 설치 시 건물 벽과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워야 하는데 우레탄폼을 발포해 채우는 것은 추후 화재발생 시에도 대형참사의 원인이 될 수 있음에도 인건비와 자재비를 감축하기 위해 이러한 공법으로 진행했는지 여부를 유해, 위험방지 계획서를 놓고 철저히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뿐만이 아니라 유가족협의회(대표 박종필)측 생존자들은 사고발생 당시 친동생, 동료, 후배와 생사의 갈림길에서 자신들만 살아난 것 같은 죄책감과 트라우마, 외상 후 스트레스증후군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성남지사 측은 생존자들의 증언과 조사를 하겠다고 생존자들을 성남까지 와서 조사 받으라 했다는 주장이 나와 비난과 빈축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유가족들은 분개하며 정부부처와 책임소지가 있는 기관이 철저히 관리, 감독을 하고 규제를 했다면 벌어지지 않았을 대형참사가 어이없이 똑같은 도시에서 되풀이 된 것에 철저한 조사 및 정부기관의 직무유기를 밝혀달라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전후 사정이 담긴 해당 사망 또는 부상 피해자 유가족, 피해자협의회는 지난 5월 11일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올렸고 현재 7,460명이 청원에 동참하고 있으며 6월 10일 청원이 마감될 예정이다.

생존 탈주자 A씨는 동일업계에서 20여년 이상의 현장경험을 통해 통상 냉동창고 화재의 경우 안치되는 벽틈을 콘크리트로 채울 경우 불과 몇 분만에 불이 번져 몇시간만에 지하2층서 지상4층까지 건물전체가 소실되지 않는다면서 그 방식대로 시공이 되었다면 화재가 발생했어도 충분해 희생자 모두 탈출했을 것이라 말했다.

이처럼 유가족 및 피해자 가족을 비롯해 국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화재조사를 담당하고 있는 수사당국과 정부 조사기관이 화재원인을 어떻게 규명하게 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