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 공고 꾸준히 내고 있지만 여섯 차례 유찰
높은 임대료, 낮은 수익, 줄어든 이용객 ‘삼중고’

서울지하철 6호선에는 텅 빈 점포들이 줄지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진 / 임솔 기자]
서울지하철 6·7호선에는 텅 빈 점포들이 줄지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진 / 임솔 기자]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서울지하철 6·7호선 상가에 불이 꺼진지 반년이 다 돼가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말부터 해당 복합상업공간에 대한 입찰공고를 내고 있지만 여섯 차례나 유찰돼 시름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1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개찰한 서울지하철 6·7호선 ‘그룹별 복합상업공간 임대차(5개 그룹)’ 건이 또 유찰됐다. 지난해 12월 16일부터 시작된 입찰이 연이어 불발되자 조건을 개선해 다시 입찰공고를 띄우고 있지만 이렇다 할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2013년 ‘지하철 6·7호선 유휴공간 개발 계획’을 통해 상업공간의 70%를 중소상인에게 제공, 소상공인을 보호하고 계약기간을 기본 5년에서 추가로 5년 더 연장 가능한 조건으로 GS리테일과 임대차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GS리테일은 중소상인들을 모집해 지하철 6,7호선 406개(6호선 174개소, 7호선 232개소) 상가를 재임대했으나 계약기간동안 발생한 영업 손실을 이유로 기본 계약종료일인 10월 24일, 재계약 포기의사를 밝히고 퇴점을 결정하면서 406개 상가들의 영업을 중지시킨 상태다.

당시 계약이 해지된 임차상인들은 전대인인 GS리테일이 계약연장을 포기하더라도 서울교통공사가 전대차에 대한 사전허락을 해줬기 때문에 서울교통공사가 이를 승계해 개정된 상가법에 따라 10년의 갱신요구권을 보장하거나, 서울교통공사가 406개 점포 일괄입찰 방침을 고수하지 말고 해당 임차상인들과 우선계약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서울교통공사 측에 요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는 406개 점포의 일괄입찰 방침을 고수하며 다음 입찰자가 정해질 때까지 406개 점포 전부에 대한 임대료 납부를 조건으로 명도유예를 하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했다.

빈 점포들에는 이런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 / 임솔 기자]
빈 점포들에는 이런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 / 임솔 기자]

이후 서울교통공사는 복합상업공간의 새로운 사업자를 찾기 위해 6·7호선 복합문화상업공간에 일부 상가를 추가해 3곳으로 나눠 개별 입찰을 시도했으나 불발됐고, 공간을 5그룹으로 더 나눠 입찰에 나섰다. 임대차 대상 상가도 396개에서 351개로, 기초금액도 5년 919억원에서 813억원으로 낮췄지만 또 유찰된 것이 지금의 상황이다.

기초금액이 100억원 이상 인하된 물음에 대해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기초금액은 떨어뜨린 게 아니고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떨어져 4년 이상 공실이었던 부분에 대해 목적물을 제거했다”며 “목적물을 빼니 전체 목적량이 줄어들었고, 그러면서 기초금액이 줄어들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계속 유찰되는 것에 대한 질문에는 “공사 입장에서도 계속 공실로 둘 수 없는 구간이고 사업을 추진하기는 해야 한다”며 “입찰하는 사업자 입장에서 좋은 방향으로 사업조건을 개선해서 재추진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수익에 비해 임대료가 지나치게 높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지역 중대형상가의 월평균 임대료는 ㎡당 5만4700원이다. 50㎡ 면적인 점포의 경우 매달 274만원 정도를 내는 셈이다. 반면 지하철 상가의 경우 두 배 이상 비싸다. 점포 입장에서는 매출 대비 임대료가 너무 높아 수익을 내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다. 실제로 GS리테일은 지난해 지하철 6~7호선 점포 계약 종료로 관련 적자가 큰 폭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면서 지하철 이용객도 크게 감소해 서울시는 지하철 운행을 4월 1일부터 기존 오전 1시에서 자정까지로 1시간 단축한다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감염병 위기경보 ‘심각’ 단계가 발령된 지난 2월 23일 이후 일주일간 이용객은 전년 대비 40.5% 감소, 자정 이후 심야 시간대 1∼8호선의 1량당 평균 인원은 6.4명에 불과했다.

비싼 임대료와 줄어든 이용객, 코로나19 사태까지 터진 상황에서 서울교통공사가 새로운 사업자를 찾을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