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위원회 임시회 소집 실적 전무
위원회 모두 해마다 한 차례씩의 정기회만 개최해

평택시청 사진=윤현민 기자ⓒ평택시
평택시청. /사진=윤현민 기자

[경기남부 /윤현민 기자] 평택시가 안이한 재난안전 인식으로 공직 안팎의 빈축을 사고 있다. 1년에 한 번뿐인 관련 위원회 회의도 현안논의보다 보고자료 취합에 맞춰져 있다. 이에 일각에선 구색 맞추기에 급급하다는 지적과 함께 위원회 폐지 요구까지 나온다. 

23일 평택시에 따르면 시는 사회재난안전을 위해 안전총괄관 소관으로 안전도시위원회와 안전관리위원회를 운영 중이다. 이들 위원회 모두 해마다 한 차례씩의 정기회만 개최해 왔다.

우선 안전도시위원회는 지난 2016년 국제안전도시 추진과 함께 꾸려졌다. 정장선 시장을 위원장으로 유관 기관·단체장과 전문가 등 22명이 구성원이다. 하지만, 여태껏 위원장 또는 재적위원 1/3 이상이 요구한 임시회 소집은 없었다. 지난해에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을 이유로 매년 한 번씩 열던 정기회마저 건너뛰었다.

안전관리위원회도 지난 2005년 구성 후 줄곧 해마다 한 차례씩의 정기회만 열었다. 이 자리에선 현안 논의보다 주로 상급단체에 보고할 자료를 수집하는 게 고작이다. 시 안전정책팀 관계자는 "매년 2월 말까지 경기도 승인을 받아 수립토록 돼 있는 안전관리계획을 위해 정기회를 열어 각 기관들의 계획을 취합받고 있다"며 "국가재난 수준으로 우리 시에 피해가 집중되지 않는 이상 단독으로 위원회 회의를 개최할 필요는 없다"라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자 지역사회에선 무사안일 행정을 질타하는 소리가 높다. 시민활동가 A씨는 "평택시가 각종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낙제 수준인 걸 감안하면 위원회 운영에 지나치게 미온적이고 재난안전 인식도 너무 안일한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실제 지난해 경기도가 발표한 사회안전도조사에서 평택시는 여주시와 하남시를 빼면 가장 나빴다. 평택에선 전체 38.2%가 전반적인 사회안전이 불안하다고 응답했다. 도내 전체 31개 시군 중 여주시가 41%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하남시 40.9% ▲평택시 38.2% ▲군포시 36.2% ▲광주시 36% 등의 순이다.

또, 위원회 무용론을 지적하며 과감한 통·폐합 주장까지 제기된다. 정일구(미래·평택마) 평택시의회 자치행정위원장은 "위원회 운영이 유명무실화 되고, 유사 위원회와 기능까지 중복되면서 관련조례도 제정과 폐지를 거듭할 수 밖에 없다"며 "이 기회에 불필요한 위원회는 과감히 없애 운영에 내실을 기하는 게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