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OTP, 보안토큰 등 다른 인증수단 이용 늘어
“다른 업체 거래 유지...보안카드 이용 중단 계획은 없어”

시중은행에서 은행 거래를 위해 제공하는 보안카드 생산 국내 1위 업체가 파산신청을 한 걸로 나타났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김은지 기자] 시중은행에서 은행 거래를 위해 제공하는 보안카드 생산 국내 1위 업체가 파산신청을 한 걸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터넷뱅킹 인증수단 중 보안카드 방식을 선호하는 이용자들도 많이 있는 만큼 당장 보안카드가 사라질 가능성은 없어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보안카드를 90% 이상을 생산해 시중은행에 공급해온 업체 YBL이 파산신청을 했다. 

YBL 관계자는 “11월 1일자로 파산신고를 한 상태는 맞다”며 “거래한 회사들에는 계약이 더 어렵다고 앞서 전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보안카드는 인터넷뱅킹 이체 시 사용하는 플라스틱 코팅 재질로 만들어진 인증도구다. 텔레뱅킹 이용자들은 보안카드가 없으면 거래가 어렵지만 최근엔 OTP(One Time Password) 등 다른 대체수단들이 많이 이용돼 사용이 줄고 있는 추세다.

4자리 숫자 25~35개가 적혀있는 보안 매체인 보안카드는 일련번호와 보안카드 생성 알고리즘을 알면 적혀있는 숫자를 모두 복구해낼 수 있어 보안카드를 복사하거나 스캔해 이메일·웹하드 등으로 보관하거나 하는 행위는 보안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걸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편의성을 위해 사람들은 핸드폰 등에 사진으로 저장해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은행들은 보안을 위해 정기적으로 보안카드를 바꾸도록 고객들에게 권유하고 있다. 또한 보안카드를 스캔해 종이로 가지고 다니다가 잊어버리면 쉽게 분실신고 및 재발급을 하는 경우도 많아 은행들에서는 적극적으로 다른 수단을 장려하기도 하는 상황이다.

은행 관계자들에게 보안카드 1위 생산업체가 파산 신청을 하게 되면서 이로 인한 지장이나 추후 보안카드 활용계획엔 변동이 없는지 물어봤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해당 업체가 보안카드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고 거래중인 건 맞지만 다른 업체들이 못 만드는 건 아닌 걸로 알고 있다”며 “이 때문에 보안카드를 당장 없앤다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최근엔 고객들이 보안카드를 안 쓰고 보안토큰이나 카드형 인증서 등이 있어서 그런 식으로 많이 대체돼있다”고 말했다. 이어 “타 은행들은 다른 업체들과도 거래하고 있어 크게 지장이 없는 걸로 안다”며 “파산이 확정된다면 재입찰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보안카드와 관련해선 해당업체와 함께 또 다른 업체인 옴니시스템과 복수거래 중으로 파산관련 영향은 없는 상태이며 보안카드 사용이 줄고 있는 것은 맞지만 선호 고객들이 있어 사용중단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은 없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해당 업체와 거래해왔지만 업체가 파산신고를 하여 현재 다른 업체를 선정하려고 추진 중”이라면서도 “현재 보안카드 사용빈도가 줄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보안 매체 중에서 보안카드가 보안성이 제일 약한 건 사실”이라며 “한도 제한 때문이 아니더라도 보안문제로 OTP를 많이 이용하도록 장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도 보안매체를 쓰는 분들 중 보안카드를 사용하는 비중이 50%이고 나머지 매체가 50% 비중인 만큼 아직 많이 쓰이고 있다"며 "거래했던 1위 업체가 파산신청을 한 건 맞지만 기존에 만들어놨던 재고도 있고 다른 업체와 계약을 준비 중이라 수급엔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보안카드 대신 널리 쓰이고 있는 OTP는 같은 암호를 반복해 사용하다가 위험에 노출되는 사고를 줄이기 위해 고안된 도구로 2008년 개정된 전자금융감독규정에서 1등급 보안매체로 지정돼 2007년 6월 서비스가 시작된 이래 이용자 수가 1000만 명을 넘어선 걸로 알려져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