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긍정’ 47.8% ‘부정’ 48.3%
민주당, 2주째 완만한 상승세…한국당 2주째 내림세

ⓒ리얼미터.

[시사포커스 / 박고은 기자] 조국 정국으로 하향세를 보였던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긍정평가)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정당 지지율이 2주째 완만하게 상승했다. 여권에서의 지지층 결집과 조 후보자 기자간담회 효과로 문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이 동반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5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2~4일까지 사흘 동안 전국 유권자 1502명을 대상으로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를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 포인트)한 결과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1.3%포인트 오른 47.8%(매우 잘함 27.8%, 잘하는 편 20.0%)를 기록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1.9%p 내린 48.3%(매우 잘못함 36.9%, 잘못하는 편 11.4%)로 다시 40%대로 떨어지며, 긍정평가와의 격차는 0.5%p 박빙으로 좁혀진 것으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0.6%p 증가한 3.9%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검찰의 조 후보자 관련 1차 압수수색 이튿날인 지난달 28일 일간집계에서 43.4%를 기록하며 취임 후 일간 최저치로 하락했다. 이후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방송 인터뷰(29일), 지지층의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운동 본격화, 조 후보자의 기자간담회(2·3일)가 이어지면서, 진보층과 중도층을 중심으로 다시 결집, 3일 일간집계(48.8%)까지 조사일 기준 나흘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하지만, 검찰의 조 후보자 관련 2차 압수수색 이튿날인 4일 일간집계(47.8%)에서는 내린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 계층별로는 진보층과 중도층, 20대와 30대, 50대, 60대 이상, 학생과 자영업, 사무직, 주부, 부산·울산·경남(PK)과 충청권, 서울에서 주로 상승했다. 40대와 경기·인천은 하락했다.

ⓒ리얼미터.

정당 지지도에서는 2주째 무당층이 15%대를 기록하며 8월 3주차 대비 2%p 이상 증가한 규모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과 정의당은 다소 상승한 반면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우리공화당, 민주평화당은 모두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민주당은 지난주 8월 4주차 주간집계 대비 0.4%p 오른 39.8%를 기록, 2주째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며 40% 선에 다가선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당은 조 후보자의 기자간담회가 있었던 2일 일간집계에서 42.2%까지 올랐다가, 검찰의 조국 후보자 관련 2차 압수수색 당일인 3일(40.9%)과 다음 날 4일(38.3%) 이틀 연속 내렸다.

세부 계층별로는 진보층과 중도층, 20대와 30대, 60대 이상, 학생과 주부, 충청권과 부산·울산·경남(PK), 서울에서는 상승했지만 보수층, 40대와 50대, 무직과 사무직, 대구·경북(TK)과 호남, 경기·인천은 하락했다.

반면 한국당은 0.6%p 내린 28.5%로 2주째 하락세를 나타냈다. 다만, 검찰의 조 후보자 관련 2차 압수수색 이튿날인 4일 일간집계에서는 29.3%로 반등했다.

한국당은 진보층, 20대와 30대, 학생과 주부, 자영업, 사무직, PK와 호남, 서울에서 하락한 반면, 보수층, 40대와 50대, 무직과 노동직, 경기·인천과 TK는 상승했다.

민주당은 진보층(62.2% → 65.3%)에서, 한국당은 보수층(60.0% → 63.0%)에서 각각 3%p가량 상승하며, 핵심이념 결집도는 양당이 60%대 초중반으로 비슷했다. 중도층에서는 민주당(36.8% → 38.1%)과 한국당(26.6% → 25.9%)의 격차가 10.2%p에서 12.2%p로 소폭 벌어졌다.

정의당은 1.2%p 오른 7.4%로 지난 3주 동안의 내림세가 멈추고 반등하며 7%대를 회복했으나, 바른미래당은 0.5%p 내린 5.1%로 지난주에 이어 하락세가 지속된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공화당 역시 0.2%p 내린 1.5%로 약세가 이어졌고, 민주평화당 또한 0.3%p 내린 1.1%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이어 기타 정당이 0.1%p 내린 1.1%, 무당층(없음·잘모름)은 0.1%p 증가한 15.5%로 집계됐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