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영향에 대한 중소 수입업체 의견조사' 결과

중소기업 10곳 중 5곳 이상이 일본 정부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응하여 별도의 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 / 뉴시스)
중소기업 10곳 중 5곳 이상이 일본 정부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응하여 별도의 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5곳 이상이 일본 정부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응하여 별도의 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와 관련해 일본 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영향에 대한 중소 수입업체 의견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별도의 준비를 하고 있는 업체도 48.0%로 나타났으나 준비가 다소 부족한 업체가 38.4%(‘약간 준비되어 있다’ 20.7%+‘부분적으로 준비되어 있다’ 17.7%)로 나타난 반면, 충분하게 준비되어 있는 업체는 9.6%(‘대부분 준비되어 있다’ 8.6%+‘모두 준비되어 있다’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별도의 준비방안은 다소 소극적 대응방안인 ‘재고분 확보’가 4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일본 거래축소 및 대체시장 발굴’ 31.3%,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 15.3%, 기타(국산화 진행 등) 6.9%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본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현재 부정적 영향을 느낀다는 응답은 25.7%로 나타났으며, ‘아직 모르겠다’는 응답은 39.0%, ‘부정적 영향 없다’는 35.3%로 조사되었다.

현재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화이트리스트 제외 발효시 기업경영에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은 67.3%로(영향없다 32.7%) 나타났으며, 영향을 받는 시기는 3개월 이내 36.3%, 4개월~1년이내 26.7%, 1년 이후 4.3%로 나타났다.

일본과의 무역전쟁과 관련하여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분야로는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 및 국제공조 강화’가 4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피해 최소화 및 공정환경 조성’(34.3%),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21.0%)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그동안 중소기업이 어렵게 기술개발을 하더라도 대기업이 구매를 하지 않아 많은 기술이 사장되어 왔다”면서 “앞으로 중앙회가 우수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이를 대기업에 매칭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