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화 하향 안정, 환율전쟁 심화 가능성은 낮을 것 판단
8월 연준 정책 모멘텀 부재...단기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높아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에 대해 “최근 중국이 자국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한 데 따른 것”이라고 이날 성명을 통해 전했다. ⓒ뉴시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에 대해 “최근 중국이 자국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한 데 따른 것”이라고 이날 성명을 통해 전했다. ⓒ뉴시스

[시사포커스 / 김은지 기자] 미 재무부가 어제 뉴욕 주식시장이 일제히 하락한 ‘블랙먼데이’로 종료된 이후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지시간 5일 미국 재무부는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 같은 결정의 배경에 대해 “최근 중국이 자국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한 데 따른 것”이라고 이날 성명을 통해 전했다.

사실상 이 같은 조치는 중국 위안화의 가치 하락을 들어 중국을 환율조작국이라고 비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이 결정적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위안화의 가치가 달러당 7위안을 돌파하자 당일 트윗을 통해 “중국이 환율을 역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뜨렸으니 그것은 환율 조작이라고 불린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진다. 심지어 연준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환율조작은 시간이 흐르면서 중국을 약화시킬 중대한 위반”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해 므누신 장관도 중국이 외환시장에서 지속적이고 큰 규모의 개입을 하며 통화가치 절하를 용이하게 해온 오랜 역사를 지적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대해 김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9월부터 3천 억달러 규모의 4차 관세 인상을 단행하겠다고 언급한 가운데 금융위기 이후 달러화대비 위안화 환율이 7위안을 상회했다”며 “이날 인민은행은 위안화 가치의 안정을 언급하면서도 최근 위안화 약세가 미국의 보호 무역 및 관세 부과 영향 등 때문이라고 언급해 위안화의 평가절하가 무역갈등에 따른 대응 차원이라는 점을 시사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가 위안화 약세를 환율 조작이라고 언급하며 실제로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함에 따라 글로벌 환율 전쟁이 재개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김 연구원은 “미국은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했을 경우 미국 기업의 해당국 투자시 금융지원 금지, 해당국의 미국 조달시장 진입 금지, IMF를 통한 환율 압박, 무역협정과의 연계 조치 시행 등이 가능하다”며 “과거 환율 조작국 지정 사례를 감안하면 해당국 통화 강세 또는 환율 제도의 변경 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다만 연준이 유럽중앙은행(ECB)보다 정책 여력을 크다는 점을 볼 때 달러화의 하향 안정이 예상됨에 따라 환율 전쟁이 심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또한 미국의 대선 일정을 감안하면 트럼프는 무역갈등을 심화시키기 보다는 해결 압박이 커질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무역갈등이 극단적으로 진행되기는 어렵다는 판단이다.

김 연구원은 “8월 FOMC 회의 이후 연준의 정책 모멘텀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미국 주식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밸류에이션 부담이 부각돼 단기적으로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지만 금번 무역갈등 우려에 따른 주가 조정은 기간 조정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 이후 20% 수준의 급락세를 나타냈을 당시에는 연준의 긴축이 동반됐던 반면 현재는 연준이 완화적 스탠스로 전환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오는 8월 22~24일 잭슨홀 컨퍼런스에서의 파월 연설이 중요할 전망이다. 그는 “지난 8월 FOMC 회의에서 파월은 금리인하가 장기적 인하는 아니라고 언급했기에 연준 정책 방향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더불어 추가 인하에 대한 힌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연준의 보험성 금리인하를 확인하면서 글로벌 주식시장은 점차 안정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