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손 안 되고 코 풀려는 재계·보수 세력에 끌려 다녀선 곤란”

심상정 정의당 대표.[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박고은 기자]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29일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하 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이하 화관법)의 개정을 검토하는 것과 관련 “당장 멈춰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심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의당 상무위원회의에서 “정부는 일본수출규제 대응책을 앞세운 위험한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정부는 반도체소재산업 경쟁력을 뒷받침하겠다며 화평법과 화관법 완화, 52시간 근무제 특례 확대, 산업안전법 개정, 법인세·상속세 인하 등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재계의 요구를 부문별하게 수용할 태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러다간 박근혜 정부 때도 이루지 못한 재계의 숙원과제들이 문재인 정부에서 더 쉽게 소원풀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심 대표는 “화평법과 화관법 완화는 착한 규제조차 거부하는 재계의 집요한 요구에 굴복하는 것일 뿐 반도체소재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노동자의 건강권과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문재인 정부의 공정경제와도 배치된다. 진단과 처방 모두 잘못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고순도 불산을 전적으로 일본에 기대게 된 것은 화평법 때문이 아니라, 반도체 기업들이 미래의 위험에 대비해 마땅히 해야 할 기술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라며 “2012년 구미 불산 폭발사고 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은 강화된 규제를 피해 국내생산을 포기하고 일본에서 수입하는 손쉬운 선택을 했다”고 전했다.

심 대표는 “만약 그때 오히려 기술·설비투자를 강화하고 일본의 안전관리기술, 오염관리 노하우를 배워 국내생산체제를 갖추었더라면 지금쯤은 일본을 넘어설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일본은 반도체 기업들이 소재회사와 협업, 기술 지원, 차세대 반도체 공동연구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 왔다”며 “이에 반해, 한국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기업이 기술력과 비용 등을 이유로 소재회사 기술 지원에 소극적이고 차세대 재료에 대해서는 함께 개발하려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심 대표는 “정부가 반도체 산업 생태계 구축과정에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공정경제를 실현하는 것”이라며 “대기업 뒷바라지가 아니라 선진적인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덧붙여 “한국의 노동자 산업재해 사망만인율은 일본보다 3배나 높다”며 “안전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것은 2012년 구미, 2013년 화성 불산 누출사태와 가습기 살균제 참사의 교훈을 잊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심 대표는 “문재인 정부는 규제 완화에 앞장설 것이 아니라, 착한 규제와 나쁜 규제를 구별하고, 안전이 경쟁력이라는 정책신호를 강력히 유지하기 바란다”며 “정부가 반일 국면에 편승해서 손 안 되고 코 풀려는 재계와 보수 세력들에 끌려 다녀선 곤란하다. 정부가 정신 차리고 중심을 잡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