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본 공무원 노조 雨 속 기자회견…“설립 후 처음, 135년 만에 현금수지 적자 전망”

우본 공무원노조는 17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 / 임솔 기자]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공무원노동조합(이하 노조)은 17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우체국 택배사업을 폐지하고 소외지대에 우편서비스를 집중하자”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20년 전 출범한 우정사업본부는 편지 발송량이 줄자 당시의 규모와 인력을 줄이지 않고 기존 인프라를 활용해 택배사업을 병행하기 시작했다. 이후 온라인 시장은 급속도로 상승했고 우체국 택배사업 역시 2011년 1억6000만 건에서 2018년 2억7000만 건으로 168% 성장했으며 이후로도 매년 10% 이상 성장해왔다.

그러나 과도한 경쟁으로 초창기 30개가 넘던 택배업체는 파산 등을 거쳐 우체국을 비롯한 CJ대한통운, 롯데, 한진 등 상위 몇 개의 업체가 시장의 85%를 독과점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우체국은 전체 물량의 8% 내외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인건비와 물류비 증가로 지난해 217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노조는 그 원인으로 인건비가 지난해보다 2266억원이나 급증한 2조9363억원으로 전망된다는 점을 꼽았다.

민간기업으로 치면 사내유보금이라 할 수 있는 공공자금예탁기금 예치금 회수도 지난해보다 800억원이 줄어든 500억원이 됐고 올해 이마저 회수한다면 잔고가 바닥이 날 것으로 노조는 보고 있다.

또한 노조는 지난 9일 우체국 집배원 총파업 유발의 원인에 우체국 택배가 중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당시 우정노조의 총파업은 우정사업본부와 소포 위탁 택배원 750명 증원 등의 합의안을 도출해 전격적으로 철회됐지만 오히려 그것이 우정사업의 앞날을 더 어둡게 만들 거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현재 우체국 택배사업은 물량이 늘면 사람을 더 충원해야 하고 사람이 더 충원되면 비용이 더 늘어나며 그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민간 회사와 뺏고 뺏기는 싸움을 하며 더 많은 택배를 접수해야 하는 구조다.

한정된 예산과 인원이라는 공무원 조직의 한계로 인해 탄력적 대응이 어려워 갑작스런 택배 물량 증가는 집배원 등 외근직 노동자의 사고사와 중노동의 원인이 돼왔으며 공무원임에도 영업과 마케팅을 통해 민간 회사와 치열하게 경쟁해야하는 행정·기술직 공무원 등 내근직 노동자의 무덤으로 불리고 있다.

이철수 노조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임솔 기자]
이철수 노조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임솔 기자]

이철수 노조위원장은 “우리는 집배원의 노동조건 개선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합의가 전체 종사자원들에게 이익이 되고 국민들에게 더 나은 우정서비스를 제공하는 토대가 된다면 얼마든지 환영할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우체국에서 금융·우편·택배 마케팅을 전담하는 7000여 행정·기술직 공무원노동자들로 구성된 우리 노조는 그렇지 않을 것임을 잘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우체국이 나아가야 할 길은 서민중금리 대출을 통한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 재정립, 남북우편교류 실현을 통한 민족화해의 플랫폼 등이 있다”며 “이를 위해 우체국이 민간시장영역인 택배사업을 전면적으로 축소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조는 이와 함께 대한민국 물류시스템의 안정적 제공이라는 공적영역의 수행과 안정된 우편요금으로 도서·벽지까지 우수하고 보편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주장했다.

한편 집배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우정노조는 총파업 하루 전인 지난 8일 오후 열린 집행부회의에서 우정사업본부와 정부의 중재안을 수용하기로 하며 총파업 철회 결론을 내렸다.

중재안에는 ▲토요 업무를 대신할 위탁 택배원 750명을 포함한 900여 명 인력 증원 ▲내년부터 농어촌 지역부터 주 5일제 시행 ▲우체국 예금 수익을 국고로 귀속시키지 않고 우편사업에 쓰도록 하는 방안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