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주 KT는 대주주 적격성 심사에 제동
자본확충 막히며 자산건전성도 악화

케이뱅크에 대한 위기감이 안팎으로 고조되고 있다. ⓒ시사포커스DB
케이뱅크에 대한 위기감이 안팎으로 고조되고 있다.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제1호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증자 실패와 잇따른 적자는 물론 대주주 KT의 지분 확대도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케이뱅크는 지난달 KT, 우리은행, NH투자증권이 참여하는 소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의하고 신규 주주사 2~3곳을 영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은행의 건전성 지표가 악화되고 있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 금융위, KT 대주주 적격성 심사 중단

금융위원회는 KT가 지난 3월 당국에 신청한 ‘케이뱅크에 대한 주식 보유한도 초과보유 승인’ 심사를 중단했다.

금융위는 심사과정 중 KT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가 진행 중인 사실 등 관련 규정을 들며 조사 등 절차에 소요되는 기간을 승인 처리기간(60일)에서 제외하는 결정을 했다.

KT는 최근 금융당국에 입찰 담합 혐의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KT가 금융당국에 추가 보고한 입찰담합 의혹 조사 건은 여러 건이며 이 가운데 일부는 지난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신청하기 전에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KT는 입찰 담합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상태다. ⓒ시사포커스DB
KT는 입찰 담합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상태다. ⓒ시사포커스DB

KT는 이에 앞서 지하철 광고 아이티시스템 입찰 과정에서 담합을 했다가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2016년에 7000만원의 벌금형이 확정된 바도 있다.

여기에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4월 KT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로 하면서 케이뱅크의 지분을 늘리려는 KT의 움직임이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공정위는 앞선 의혹 중 공공분야 전용회선 사업에서 입찰 담합을 벌인 것으로 드러난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세종텔레콤에 시정명령과 과징금 총 133억2700만원을 부과했다. 이중 담합을 주도한 것으로 보이는 KT는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공정위가 검찰 고발을 결정했으므로 KT에 대한 한도초과보유주주 승인심사는 검찰수사 및 재판결과에 따른 벌금형 여부 및 수준이 확정될 때까지 계속 중단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급한 불’ 진화 위해 412억원 규모 유상증자하기로 했지만…

케이뱅크는 금융위의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유상증자 분할 시행 및 신규 투자사 영입 등 실행 가능한 모든 방안에 대해 주요 주주사들과 협의해 착수하고 지난달 412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하기로 했다.

케이뱅크는 지난달 15일 이사회를 열고 823만5000주(약 412억원)의 전환신주를 발행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전환주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의결권이 있는 보통주로 바꿀 수 있는 주식이다.

현행법상 케이뱅크는 전환주를 전체 발행주식의 25%까지 발행할 수 있는데 이번 발행으로 최대한도에 육박하게 된다. 주금 납입일은 오는 20일이며 증자가 완료되면 케이뱅크의 자본금은 5187억원으로 증가한다. 이번 증자에는 KT, 우리은행, NH투자증권 등 3대 주주가 참여한다.

케이뱅크가 소액이나마 급하게 유상증자를 실시한 이유는 올 초 결의한 59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가 연기됐기 때문이다.

앞서 케이뱅크는 지난 1월 이사회를 열고 자본금 규모를 두 배 이상 늘리기 위해 보통주 1억1838만7602주(5919억3801만원)의 신주 발행을 의결했다. 그러나 대주주 적격성 심사가 중단될 기미를 보이자 지난 4월 25일로 예정된 유상증자 납입일을 연기했다.

또 케이뱅크는 직장인K 대출상품의 신규 판매를 중단했는데 유상증자 의결 당시 “이번 증자를 통해 중금리 대출을 확대 및 강화하고 ICT로 편의성을 높인 신규 상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전한 만큼 유상증자가 연기되자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케이뱅크는 보다 안정적인 자본확충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신규 주주사 영입을 주요 주주사들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성훈 케이뱅크 은행장. ⓒ케이뱅크
심성훈 케이뱅크 은행장. ⓒ케이뱅크

◆ 적자 누적에 건전성 지표도 큰 폭 악화 ‘비상’

4일 은행연합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올해 1분기 말 24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28.1% 증가한 것이다. 또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2.48%로 국내은행 중 가장 저조했다. 지난해 말 16.53%였던 총자본비율이 불과 3개월 만에 4.05%p 떨어진 것이다. 이는 59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가 무산된 탓이 크다.

또한 고정이하여신비율(부실채권비율)도 크게 높아졌다. 올해 1분기 말 케이뱅크의 연체율은 0.87%로 지난해 말 대비 0.11%p 상승했고 고정이하여신비율도 0.13%p 상승한 0.80%를 기록했다.

같은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의 BIS 자기자본비율은 13.41%, 연체율은 0.16%,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18%인 것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두드러진다.

케이뱅크 측은 부실채권 매각을 진행하지 않아 수치가 높아졌을 뿐 부실채권이 늘어난 것은 아니라고 해명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케이뱅크의 부실채권 규모는 120억원 수준이다. 케이뱅크는 부실채권 규모 자체가 작다고 판단, 지난 3월 1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했지만 워낙 적은 규모라 건전성지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부실채권 비율만 보면 케이뱅크의 건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걱정할 수 있지만 이는 중금리 대출 활성화와 증자이슈로 대출영업을 늘리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이 같은 문제도 조만간 해결될 것으로 보이며 건전성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