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상생 종합계획'…사람·정보·물자 입체적 교류 체계화

ⓒ서울시
ⓒ서울시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서울시가 서울-지역 간 양극화·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29개 자치단체와 ‘서울-지방 상생’을 선언하고 그 실현전략으로 ‘서울시 지역상생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22일 박원순 서울시장과 구청장협의회 회장단(용산, 성동, 양천, 광진, 서대문구 5개 자치구청장)은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 선포 및 협약식’에서 서울선언문을 공식 선포했다.

‘서울-지방 상생 종합계획’은 전국 각지 우수한 인재와 자본의 집중으로 압축 성장을 이뤄온 서울이 직접 나서 책임과 역할을 강화한다는 목표로 서울시가 오는 2022년까지 총 2,403억여 원을 투자해 36개 사업을 실행하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역상생을 위한 ‘대외협력기금’을 조성 운영해오고 있으며 민선 5기 이후 광역·기초지자체와 55건의 MOU를 체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부의 시장, 추석명절 서울장터 등 세부사업을 추진 중이다. 

인적 교류는 청년 창업 및 고용에 역점을 둔다. 서울 청년들이 지역으로 진출해 이전에 없던 새로운 기회를 찾고 지역 활성화도 유도한다. 올해 300명을 시작으로 2022년 연간 500명 규모로 청년을 선발해 사업비(창업), 인건비(고용) 및 지역 정착 전 과정에 이르기까지 전방위 지원한다. 

또, 기존에 교육 프로그램 중심이었던 귀농·귀촌 지원은 실제 농가에서 살아보며 배울 수 있는 ‘체류형’으로 진화한다. 서울시민이 지역에서 단기 농촌살이를 체험해볼 수 있는 ‘서울농장’이 올해 3곳(괴산, 상주, 영암)에서 첫 선을 보이고 ‘22년까지 전국 총 10개소가 차례로 문을 연다. 

정보 교류에서는 서울에 집중돼 있는 혁신기술과 정책을 지방까지 전파하기 위해 ‘찾아가는 혁신로드’라는 이름으로 서울시 공무원과 분야별 민간 전문가가 팀을 이뤄 각 지역으로 가서 현장밀착형으로 컨설팅해준다. 

도시재생 등 서울이 선도적으로 시행 중인 혁신정책을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기존 ‘서울정책연수프로그램’ 내에 테마별 집중연수코스를 신설하고 참여자 규모도 올해 5,500명에서 2022년 7,000명까지 확대한다. 또, 문화·예술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들을 중심으로 방문공연, 전시교류 등도 확대한다. 

서울시는 ‘함께 살아갑니다. 함께 살아납니다’라는 비전 아래 이런 내용을 주요 골자로는 인적 교류(지역 정착·활동 지원 17개), 정보 교류(혁신 기술·제도 공유 10개), 물자 교류(자원의 유기적 연계 9개) 세 분야, 총 36개 사업 등이 있다.

5대 주요사업은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지방 취·창업 지원, 귀농·귀촌 지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서울-지방 간 격차가 특히 심한 문화·예술 분야 교류, 서울의 혁신 기술과 제도 공유, 지역상생 거점(복합공간) 확대 등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