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마케팅비용 증가는 가맹점수수료 인상 요인”
카드사 “혜택 줄면 누가 카드 쓰나”

9일 서울 세종로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카드사 CEO 간담회에서 최종구(왼쪽) 금융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9일 서울 세종로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카드사 CEO 간담회에서 최종구(왼쪽) 금융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앞으로 무이자 할부, 마일리지 등 혜택이 많은 소위 ‘혜자카드’의 출시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지난 9일 발표한 ‘카드산업 경쟁력 강화 및 고비용 마케팅 개선 방안’에 따르면 카드사가 카드상품에 과도한 부가서비스를 탑재하는 것을 자제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카드사의 마케팅비용이 2015년 4조8200억원, 2016년 5조3400억원, 2017년 6조700억원, 2018년 6조6900억원 등 2015년 이후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는 점을 꼬집으며 가맹점수수료 수익의 절반 이상을 마케팅비용으로 지출하는 것을 문제 삼았다.

특히 통신사, 대형마트 등 대형가맹점의 경우 수수료 수익 대비 마케팅비용 지출 비중이 60%에서 140%를 상화하는 수준이면서도 이들에게 적용하는 카드수수료율은 일반가맹점 평균에 비해 낮다고 지적했다.

또 카드상품에 탑재된 포인트, 마일리지, 할인 등 부가서비스 비용도 2015년 3조5000억원에서 지난해 5조원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판촉행사·경품·프로모션 등 카드매출 증진을 위한 판촉비용도 2017년 이후 1조원 이상 지출하고 있어 이로 인해 카드수수료가 인상된다고 말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카드산업의 고비용 영업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매출액 규모가 큰 법인회원 및 대형가맹점에 대한 경제적 이익 제공을 제한해 과도한 마케팅 지출 관행을 개선하고 카드사 건전성 제고를 유도하기로 했다.

여전법 시행령을 개정해 법인회원에 대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지 못하게 하고 대형가맹점의 경우 사내복지기금 등 출연, 여행경비 제공 등 여전법상 부당한 보상금을 제공하지 못하게 한다. 또 신규상품의 대해서는 수익성 분석을 합리화하고 관련 내부통제를 강화함으로써 과도한 부가서비스를 탑재하는 것을 자제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최 위원장은 “카드업계가 예전과 같이 마케팅 경쟁에 의존해 회원을 유인하고 가맹점 수수료에 수익을 의존하는 구태에 머무른다면 시대의 흐름에 휩쓸려 도태되는 비극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카드사도 보다 혁신적이고 소비자 친화적인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경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고객에게 연회비만큼만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만약 그럴 경우 고객이 카드를 굳이 쓸 이유가 특별히 없다”며 “연회비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고 고객이 어떻게 쓰냐에 따라 혜택이 연회비보다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카드사에게는 다양한 수익원이 있기 때문에 연회비라는 부분만 놓고 볼 게 아니라 종합적으로 고려해줬으면 좋겠다”고 아쉬움을 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