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 출퇴근시간 허용…택시감차·완전월급제 등 난제

지난해 카풀 서비스 도입에 반대하며 열렸던 택시업계의 집회 모습. ⓒ 시사포커스 DB
지난해 카풀 서비스 도입에 반대하며 열렸던 택시업계의 집회 모습.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한성원 기자] 대규모 파업과 분신자살 등을 야기하며 평행선을 달리던 택시업계와 카풀업계가 대타협을 이뤄냈지만 파란불이 켜지기까지는 해결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는 평가다.

7일 택시카풀사회적대타협기구는 평일에 한해 출퇴근시간인 오전 7시부터 9시, 오후 6시부터 8시까지 카풀을 허용키로 합의했다.

이로써 지난해 2월 카카오모빌리티가 카풀 앱 ‘럭시’를 인수한 뒤 같은 해 10월부터 카풀 크루(드라이버) 모집을 실시하면서 촉발된 택시업계와 카풀업계의 갈등은 전환점을 맞게 됐다.

일단 택시업계와 카풀업계가 공생하며 선의의 경쟁을 벌인다는 가정 하에 보다 향상된 서비스가 기대된다.

실제로 카풀업계에서는 요금이 아예 없는 무상카풀 시스템, 운전자 회원의 이름과 차량 번호·모델은 물론 범죄 이력까지 확인 가능한 서비스, ‘뒷좌석 선호’ ‘다시 만나지 않기’ 등 각종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속속 내놓을 전망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대타협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갈등의 불씨가 남아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대타협기구는 카풀 허용시간 외에도 ▲택시산업 규제혁파 추친 ▲규제혁신형 플랫폼 택시 올해 상반기 중 출시 ▲초고령 운전자 개인택시 감차방안 적극 추진 ▲택시기사 월급제 시행 ▲승차거부 근절 및 친절한 서비스 정신 준수 노력 등도 함께 합의한 바 있다.

이 중 택시 감차 대상인 초고령자의 기준 설정, 택시기사 완전월급제에 필요한 재원 마련, 승차거부가 빈번한 평일 심야시간대 카풀 활용 여부 등이 숙제로 꼽힌다.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은 “국민의 교통 편익을 상승시키는 방안을 염두하며 합의했다”며 “새 택시 플랫폼을 마련하면 굳이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교통 편익을 도모하는 동시에 혁신 성장과 공유 경제를 잡으며 택시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결론”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