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다낭’ 유력 후보지(?)…CNN, “마무리되는 단계”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노동당 국무위원장. [사진 / 뉴시스]

[시사포커스 / 박고은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새해 국정연설에서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북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2차 북미정상회담을 개최 한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 장소는 발표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 연방의회에서 한 신년 국정연설에서 “대담하고 새로운 외교의 일환으로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를 향한 역사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우리 인질들은 집에 왔고 핵실험은 중단됐으며 15개월 동안 미사일 발사는 없었다”고 그간의 성과를 열거했다.

이어 “만약 내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지금 북한과 수백만 명이 목숨을 잃었을 큰 전쟁을 하고 있을 것”이라며 “아직 할 일이 많이 남아 있지만, 김정은과의 관계는 좋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정은과 나는 오는 27일과 28일 양일간 베트남에서 다시 만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 이어 완전한 비핵화와 북미관계전환,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 구축 등에 관한 포괄적 합의를 진전시킬 수 있을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담은 세부 합의 문안이 나올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베트남 ‘다낭’ 유력 후보지(?)

도널드 트럼프(앞)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마이크 펜스(왼쪽) 부통령과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국정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 뉴시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국정연설에서 베트남에서 열릴 것이라고 밝혔지만 베트남 어디 도시에서 열릴 것인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현재까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곳은 베트남 다낭이다.

베트남 중부 지역의 최대 상업 항구도시이자 대표 휴양지 다낭은 APEC 정상회의를 치른 경험도 있고 무엇보다 1차 정상회담이 열린 싱가포르 센토사 섬처럼 바다로 둘러싸여 경호면에서 적합한 장소다.

CNN도 정부소식통을 인용, “다낭에서 개최한다는 것이 현재 계획”이라며 “마무리되는 단계”라고 밝히기도 했다

◆북미, 베트남 선정한 노림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6월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에서 북미정상회담 합의문 서명하고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 / 뉴시스]

북미정상회담 1차 개최지인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베트남은 양국 모두 우호적 외교관계를 맺어왔다.

북한은 베트남과 1950년부터 수교를 맺은 이후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을 지원했으며 같은 사회주의 이념체제인지라 이른바 ‘형제국가’로 서로를 인식하고 있을 정도로 전통적인 우호 관계를 이어왔다. 북한 대사관도 자리하고 있다.

북한 리용호 외무상이 지난해 베트남을 방문, “올해는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베트남을 처음으로 방문하신 지 60돌이 되는 때”라고 선대에서부터 이어진 관계라는 점을 말할 정도로 친밀한 관계다.

미국 입장에서도 베트남에서의 북미 정상회담 개최는 여러모로 상징적이다. 과거 미국과 전쟁을 치를 정도로 관계가 험악했지만 현재는 친미국가로 알려질 정도로 우호적 관계를 맺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에 북미정상회담에서 베트남이 선정된 점은 ‘미국과의 수교 후 경제성장’ 때문일 것이다.

미국은 적대관계 청산 후 경제적 번영이라는 상징적 부분들을 보여주기 위해 베트남을 선정했을 것이라고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7월 미국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하노이에서 미국-베트남 재계 관계자들을 만나 “우리는 베트남이 이런 놀라운 길을 어떻게 걸어왔는지 지켜봤다”며 “우리는 협력하고 있다. 싸우지 않고 있다. 이런 사실은 어떤 나라가 미국과 함께 밝은 미래를 만들기로 결정 한다면 미국은 그런 약속을 따른다는 점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김 위원장에게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이러한 길을 따라갈 수 있다고 믿는다. 이 기회를 잡는 것은 당신 일이다”라며 “북한도 이러한 기적을 이룰 수 있다”고 비핵화에 상응하는 경제 및 체제 안전 보장을 약속했다.

또 리 외무상은 지난해 베트남을 찾아 베트남 북부 산업단지 시찰을 하는 등 베트남 개혁·개방 모델인 ‘도이머이’(쇄신)를 벤치마킹하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심지어 지난해 4.27 남북정상회담 중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과 판문점 도보다리 회담에서 베트남식 개혁·개방을 추진하고 싶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양국 모두 베트남을 ‘롤모델’로 가장 적합한 국가로 인식하고 있다.

◆김정은, 경제 모델로 베트남 선택한 것인가

북한 김정은 노동당 국무위원장. [사진 / 뉴시스]
북한 김정은 노동당 국무위원장. [사진 / 뉴시스]

베트남은 1986년 공산당 일당독재체제를 유지하면서 경제 부문에서만 자본주의 시장 경제체제를 도입하는 '도이모이(쇄신)' 정책을 채택했다.

물론 베트남식 모델과 중국식 모델 둘 다 공산주의 틀은 유지하면서도 중앙정부 통제 하에 시장을 개방, 해외 자본을 유치해 경제를 발전시켰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차이점은 중국의 경우 막강한 화교 지본을 바탕으로 국내기업을 활성화 시킨 반면 민족 자본이 없었던 베트남은 해외 자본을 적극 유치, 민간 경제를 활성화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베트남은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유도하기 위해 외국인투자유치법 제정과 법인세 감면 등 정부의 적극적인 외자 유치 정책 도입으로 급격히 확대됐다. 때문에 당의 영향력이 중국보다 더욱 강하다.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도이모이 정책 이후 베트남은 연 6~7%대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적극적인 외자유치는 베트남 경제의 고도성장을 견인했다.

특히 1995년 미국과의 국교정상화 및 2001년 미국-베트남 무역협정이 발효, 대미수출이 본격화되면서 베트남의 수출산업이 크게 발전했다.

북한의 입장에서도 중국처럼 민족 자본이 없는 상황에서 빠르게 고도 성장을 이룩하면서도 ‘체제안전’이 유지되고 있는 베트남식 모델에 매력을 느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