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금통위…국제정세 변동성 다소 축소됐으나 리스크 여전
“국내 물가상승률 안정될 수 있도록 유의할 것”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1월 통화정책방향 관련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시스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1월 통화정책방향 관련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시스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하기로 했다.

24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는 이 같은 결정을 내리며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운용하기로 했다.

한은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배경으로는 세계경제 성장세가 다소 누그러졌으며 올해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기대 등으로 그동안 확대됐던 변동성이 다소 축소됐다는 분위기가 조성됐기 때문이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보호무역주의 확산 정도와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브렉시트 관련 불확실성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앞으로 국내경제 성장흐름은 지난해 10월 전망경로를 소폭 하회하겠지만 정부지출 확대 등으로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은 지난해 10월 2019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9%에서 2.7%로 하향 조정했으며 이달 재차 하향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1월 통화정책방향’ 전문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1.75%)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세계경제는 성장세가 다소 완만해지는 움직임을 나타내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금년 들어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기대 등으로 그간 확대되었던 변동성이 다소 축소되었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보호무역주의 확산 정도,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브렉시트 관련 불확실성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경제는 설비 및 건설투자의 조정이 이어졌으나 소비와 수출의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대체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판단된다. 고용 상황은 12월 취업자수 증가규모가 상당폭 축소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 국내경제의 성장흐름은 지난해 10월 전망경로를 소폭 하회하겠지만 정부지출 확대 등으로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물가는 석유류가격 하락, 농축수산물가격 상승폭 축소 등으로 1%대 초반으로 오름세가 둔화되었다.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1%대 초반 수준을,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대 중반 수준을 나타내었다.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1% 수준에서 등락하다가 점차 높아져 하반기 이후 1%대 중반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근원인플레이션율도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은 지난해 12월중 변동성이 확대되었다가 금년 들어서는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주가는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하락한 후 미·중 무역분쟁 완화 기대 등으로 반등하였으며, 장기시장금리는 하락 후 소폭 등락하였다. 원/달러 환율은 좁은 범위 내에서 등락하면서 안정세를 보였다. 가계대출은 증가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주택가격은 둔화세가 이어졌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완화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는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신흥시장국 금융·경제상황,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도 주의깊게 살펴볼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