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감축·영업시간 단축
가격 인상·배달비 유료화
점포 폐점으로 이어져

사진 / 뉴시스
사진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영진 기자] 2019년 최저임금은 8350원으로 정해졌다. 이에 프랜차이즈 업계는 직원 감축 및 가격 인상 등의 카드를 꺼내며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하지만 치킨 가격 2만원 시대 등이 초래하면서 소비자들의 시선은 싸늘하다. 결국 폐점하는 점포도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

◆ 직원 감축·영업시간 단축

치킨과 피자, 커피 등의 프랜차이즈 업계는 최저임금 인상 여파에 대응하기 위해 직원 감축을 하고 있다.

알바콜은 지난 8일 아르바이트생 60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아르바이트생 3명 중 1명이 지난해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구직이 어려워졌다’ 답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 10명 중 1명은 ‘갑작스러운 해고나 근무시간 단축통보를 받았다’라고 답하기도 했다.

또한 자영업자 2명중 1명은 올해 최저임금 인상으로 기존 직원 감원이나 신규채용을 취소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롯데리아와 버거킹, 탐앤탐스 등은 지난해 11월·12월 기준으로 전년대비 24시간 영업 매장이 각각 많이 감소했다. 이는 인건비를 줄이기 위함으로 이를 통해 아르바이트생들은 일자리를 잃거나 단축을 하게 됐다.

이 외에도 아르바이트생들을 위협 중인 무인결제기(키오스크)를 도입하는 매장이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 특히 롯데리아와 맥도날드는 전국 매장 중 절반 이상에 무인결제기를 이미 설치했다. 더불어 생과일주스 프랜차이즈 쥬씨는 지난해 9월 가맹점 수익증대 차원에서 도입을 적극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편의점 CU 등도 고객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직접 결제하는 ‘셀프 결제 앱’까지 내놓고 있어 아르바이트생들의 일자리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해 무인결제기 시장은 2006년 600억원 수준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2500억원까지 커지며 최저임금 인상 여파를 간접적으로 실감나게 하고 있다.

이렇게 무인결제기 시장이 점차 확대되며 아르바이트생들은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했다. 지난해 11월 알바몬은 아르바이트생 1383명을 대상으로 ‘무인 결제·운영시스템 키오스크 확대’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한 결과, 아르바이트생 10명 중 6명이 ‘키오스크 이용이 늘면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 답했다고 밝혔다.

◆ 가격 인상·배달비 유료화

직원 감축과 영업시간 단축 외에도 프랜차이즈 업계는 최저임금 상승을 대응하기 위해 가격을 인상했다. 치킨업계 1위 교촌치킨은 지난해 5월부터 배달비 2000원을 추가로 받는다고 공식화했다. 또한 BBQ는 지난해 11월 제품의 가격을 2000원 인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롯데리아와 버거킹, 신세계푸드의 수제버거 브랜드 버거플랜트 등도 지난해 하반기 가격 인상에 합류했다.

이 외에도 피자헛과 미스터피자, 도미노피자도 지난해 제품의 가격과 배달 주문의 최소 결제금액을 인상한 바 있으며 VIP 등급 혜택 및 프리미엄 등급 혜택을 줄이거나 일부 삭제했다.

소비자들은 잇따른 프랜차이즈 외식업의 가격 인상으로 배달 주문을 줄이게 되는 등 지갑을 굳게 닫으려는 경향을 보였다.

맞벌이 부부이자 직장인 한씨(37)는 “바빠서 배달음식을 자주 먹었는데 비싼 가격과 배달비 등 때문에 주문하려다가 취소한 적이 많다”고 말했다.

◆ 폐점

국세청과 소상공인연합회 등은 지난해 폐업 등을 한 자영업자 수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알바콜이 자영업자 회원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3%가 폐점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에도 프랜차이즈 본사는 자신들이 직접 운영했던 직영점도 속속 매장 철수를 단행하고 있다.

맥도날드는 인사동 관훈점과 동울산점, 부산서면점 등을 순차적으로 정리했다. 또한 엔제리너스도 이번 달에만 11개 매장을 폐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CJ푸드빌이 운영하는 계절밥상 일부 매장들도 2018년을 끝으로 문을 닫았다.

한편 소상공인연합회 최승재 회장은 지난 7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최저임금 인상으로) 폐업하고 극빈자로 전락하는 소상공인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이에 최저임금 범법자가 되거나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다. 헌법소원에 이어 대법원 위헌명령청구 심사를 청구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