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0일 공모 접수를 받아 1월 중순까지 당협위원장 선발 매듭짓기로

자유한국당 김용태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과 이진곤 조강특위 외부위원이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리는 조강특위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자유한국당 김용태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과 이진곤 조강특위 외부위원이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리는 조강특위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가 15일 전국 253개 당협 중 현역의원 21명을 포함한 79개 지역구에 대한 당협위원장직을 박탈키로 의결했다.

앞서 지난 10월 1일 전국 253개 당협위원장직을 일괄 사퇴시켰던 한국당 비대위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로부터 당협위원장 박탈대상을 보고 받은 뒤 이렇게 처리했는데, 조강특위는 2016년 총선 공천 파동 책임, 최순실 사태와 국정실패 책임, 분당사태 책임, 지방선거 패배 책임, 1심 유죄판결, 핵심 지지 지역 변화와 쇄신 등에 따라 교체 대상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교체대상에 포함된 현역의원은 김무성(부산 중구·영도구), 원유철(경기 평택갑), 최경환(경북 경산), 윤상현(인천 미추홀구을), 김재원(경북 상주·군위·의성·청송), 곽상도(대구 중구·남구), 정종섭(대구 동구갑), 윤상직(부산 기장군), 김용태(서울 양천을), 권성동(강원 강릉), 이군현(경남 통영·고성), 이종구(서울 강남갑), 이은재(서울 강남병), 홍일표(인천 미추홀구갑), 홍문표(충남 홍성·예산), 황영철(강원 홍천·철원·화천·양구·인제), 엄용수(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이우현(경기 용인갑), 이완영(경북 고령·성주·칠곡), 홍문종(경기 의정부시을), 김정훈(부산 남구갑) 등 21명으로 전체 의원 수(112명) 대비 18.8%에 달하는 대규모 교체다.

당협위원장은 선거구별 각 당원협의회의 책임자로, 기초·광역선거 후보자 추천에 영향력을 미치고 총선 공천을 받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자리인 만큼 이번 결과는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전망되는데, 전주혜 조강특위 외부위원은 이날 “2016년 총선공천 파동, 최순실 사태와 국정실패, 보수정당 분당,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의 연이은 패배에도 누구 하나 제대로 책임지지 않았다”며 “가슴이 아프지만 교체 폭이 불가피하게 커지게 됐다”고 30%를 넘는 대규모 쇄신을 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특히 이번 명단에 조강특위 위원장인 김용태 의원도 포함된 점이 눈길을 끌었는데, 이에 대해 이진곤 조강특위 외부위원은 “김 의원이 선도 탈당을 해 당이 분당되는 단초를 제공했다”며 “김 의원 스스로 용단을 내렸고 이 분을 말릴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날 쇄신대상에 포함된 79개 지역구를 제외한 나머지 173개 지역에 대해선 지난 10월 1일 일괄사퇴 이전의 기존 당협위원장들을 다시 임명했는데, 공석이 된 79개 지역구 중 69개 지역은 직전 당협위원장이 지원할 수 없는 일반공모지역, 10개 지역은 직전 당협위원장도 지원할 수 있는 공동 공모지역으로 분류해 이달 18~20일 영등포 중앙당사에서 공모 접수를 받을 예정이고 1월 중순까지 당협위원장 선발을 마무리하기로 했으며 이 과정에서 국민적 관심도가 높은 10여개 지역에 대해선 국민들이 심사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공개 오디션도 진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염동열 의원의 지역구인 강원 태백·횡성·영월·평창·정선의 당협위원장 교체 여부는 염 의원의 1심 재판의 추이를 본 뒤 결정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처럼 예상을 넘는 대규모 쇄신 결과가 나온 데 대해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너무 가슴 아픈 결정”이라면서도 “외부위원들이 많은 고심을 했고 그 고심의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사실상 결과를 수용한다는 듯한 입장을 내놨다.

반면 같은 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우리당이 단일대오로 투쟁하는데 있어 많은 전사를 잃는 결과가 될 수 있어 강한 유감”이라며 “비대위원장에게 의정활동을 열심히 해 구제될 수 있는 길 자체를 원천 차단하는 결정이 되면 안 된다고 했다”고 불만을 쏟아내 김 위원장과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한편 이번 교체대상이 된 현역 의원 21명 중 계파별로 분류하면 친박계 혹은 잔류파로는 원유철·김정훈·최경환·홍문종·김재원·윤상현·이완영·이우현·곽상도·엄용수·윤상직·정종섭 등 12명에 이르고 비박계나 복당파는 김무성·권성동·김용태·이종구·이군현·이은재·황영철·홍일표·홍문표 의원 등 9명으로 친박·잔류파 측이 약간 더 많은 편이지만 양 계파의 전체 규모를 감안하면 어느 쪽도 이번 결과를 수긍하기보단 반발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관측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