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금리 2.00~2.25% 인상
한은, 10월과 11월 저울질 인상 압박 커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 / 시사포커스 DB]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美 연준이 올해만 세 번째 금리인상을 꺼내들면서 한국은행의 연내 금리인상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 금리인상으로 한미간 금리차는 기존 0.5%p에서 0.75%p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압박이 거세 질것으로 보인다.

26일(현지시간) 미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거쳐 기준금리를 기존 1.75~2.00%에서 2.00~2.25%로 올렸다. 이는 3월과 6월에 이은 세번째 인상이다. 한국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부터 1.50%로 한미간 금리차는 0.75%p로 확대됐다.

금리차가 확대되면서 한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부터 1.5% 금리를 1년 가까이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시장에선 한은이 한 차례 금리 인상을 꺼낼 것으로 예측했지만 경기 지표가 악화된 이유로 보류했다. 10월과 11월 인상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금리 인상을 할 만한 대내외 여건이 좋지 않다. 10월은 한은이 경제전망을 내놓는데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현행대로 유지하거나 낮출 가능성이 높다.

최근 OECD는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3.0%에서 2.7%로 큰 폭으로 하향 조정했다. 일각에선 경기 하락 국면이 올해를 넘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당분간 경기 회복은 당분간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미·중 무역갈등 심화에 따른 신흥국 금융 불안 등 위기감이 고조되는 등 대내외 여건이 호락호락하지 않다. 때문에 한은이 그동안 기준금리 인상 압박에도 머뭇거리는 이유다. 하지만 이번 미 연준 금리 인상으로 금리차가 확대되면서 한은의 연내 인상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8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서 매파 성향 위원이 4명이었고, 2명의 중립성향 의원도 물가 상승에 따라서는 금리인상에 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는 등 매파 성향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대부분 금통위원이 한·미 금리 역전과 가계대출 증가, 주택가격 상승 등 금융안정에 더욱 치중해야 한다는 점을 피력한 만큼,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은 결국 한은의 금리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