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대북제재 해소 장애물 있어 일희일비 하지 않을 것

일희일비하지 않고 담담한 마음으로 남북경제 협력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힌 현정은 회장.[사진 / 시사포커스 DB]
일희일비하지 않고 담담한 마음으로 남북경제 협력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힌 현정은 회장.[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10년간 와신상담하며 대북사업 끈을 놓지 않았던 현대그룹이 웃는 날이 다가오고 있다. 2008년 관광객 피살 사건으로 대북사업을 멈춘 현대그룹이 평양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대북사업 재개 연내 가능성마저 점쳐지고 있다.

평양공동선언문에 ‘조건이 마련되는 데 따라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을 우선 정상화하고, 서해경제공동특구 및 동해관광공동특구를 조성하는 문제를 협의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나오면서 이런 기대감은 높아지고 있다.

대북제재란 장애물이 남아있지만 남북이 비핵화 방안에 합의하면서 북미 핵협상 재가동 가능성이 크고 곧 2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 될 경우 비핵화를 놓고 ‘북미 빅딜’ 여부에 따라 대북제재 해소 가능성이 무르익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대북사업 주도권의 키를 쥐고 있는 현대그룹과 사업을 같이 하고 싶은 기업들의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현대그룹은 2030년까지 전력사업, 통신사업, 철도사업, 통천 비행장, 임진강댐, 금강산 수자원, 명승지 관광사업 등 7개 SOC 독점 사업권을 갖고 있다. 때문에 경협이 시작되면 현대그룹을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다수의 기업들이 러브콜을 보내는 이유다. 현대그룹도 다수 기업들과 함께 경협을 하게 되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어 마다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북한 당국이 10년간 대북사업이 중단되면서 그동안 현대그룹이 갖고 있던 독점사업을 인정할지 여부다. 현대그룹은 독점권 유지는 문제없다는 판단이다. 관광지구 내 해금강호텔, 온정각, 부두시설 등 현대아산 자산은 몰수·동결 상태다. 금강산 이산가족 상설면회소의 전면 가동을 위해 북측의 몰수조치 해제 요청에 김정은 위원장이 동의하면서 경협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를 경우 나머지 자산에 대한 동결 및 몰수 해제 가능성도 있다.

현재 현대그룹은 현정은 회장을 중심으로 지난 5월 현대그룹 남북경협사업 TFT’를 꾸리고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당시 현 회장은 금강산·개성관광, 개성공단은 물론 향후 7대 SOC 사업까지 남북경협사업 재개를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며 “TFT는 현대그룹의 핵심역량과 의지를 하나로 모아 남북경협사업의 구심점이 되어 주길 바란다”고 당부한 바 있다.

현대그룹은 대북사업 중단이후 10년간 누적 영업손실만 2000억원에 달한다. 그럼에도 대북사업을 손에 놓지 않은 것은 현대그룹의 숙원사업이기 때문이다. 그룹 재건의 상징이면서 창업주인 故 정주영 명예회장의 유업을 잇는다는 상징성까지 현대그룹과 대북사업은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현 문재인 정부에 앞서 2000년 2007년 1·2차 남북정상회담에 현대그룹은 빠지지 않고 동행하며 남북 경협의 창구 역할을 한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현대그룹은 경협 속도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조건이 마련되는 데 따라’ 조건이 붙어 있어 기업 입장에선 현재로서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대북제재 해소가 되기 전까지 지켜보는 단계”라고 말했다.

앞서 현정은 회장은 20일 귀국 보도자료를 통해 “현대는 남북경협의 개척자이자 선도자로서 현대그룹은 일희일비하지 않고 담담한 마음으로 남북경제 협력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