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잠정 경제성장률 0.6% 7월 속보치 보다 0.1%p↓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각각 5개월, 3개월 연속 감소

수출이 7월 속보치 보다  -0.4%p 하향 조정됐다. 사진은 자동차 수출 선적[사진 / 시사포커스 DB]
수출이 7월 속보치 보다 -0.4%p 하향 조정됐다. 사진은 자동차 수출 선적[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2분기 잠정 경제성장률이 7월 발표된 속보치 보다 0.1%p 하락한 전분기 대비 0.6%p에 불과했다. 경제지표가 악화된 가운데 나온 한국은행의 2분기 잠정 경제성장률은 한국 경제의 경기 하강 국면 신호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는 점에서 당분간 경기가 회복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엇나간 정부 전망치, 설비?기계 투자 감소폭 큰 탓

4일 한국은행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0.6%로 최종 집계됐다고 밝히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2.9% 달성이 장담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에서 설비투자는 0.9%p 상향돼 좋아진 반면, 건설투자는 –0.8%p, 수출 -0.4%p, 수입 –0.4%p 하향 조정됐다.

부문별로 설비투자 증가율은 –5.7%로, 이는 속보치(-6.6%)보다 개선된 수치다. 그러나 2016년 1분기 –7.1%를 기록한 이후 9분기 만에 최악 수준이다. 건설투자는 –2.1%를 기록했다. 이는 부동산 침체시기에 정부의 SOC(사회간접자본) 투자도 감소한 탓에 주거용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줄어든 영향이다.

수입은 반도체, 비거주자 국내소비 등이 늘어 0.4% 증가한 반면 수입은 기계류, 운송장비 등이 줄어 3.0% 감소했다.

2분기 실질 GNI(국민총소득)은 전 분기 보다 1.0% 감소했다. GNI는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소득 등을 합친 지표로, 교역조건이 악화된 탓이다.

◆악화된 각종 경제지표, 경기 회복 ‘경고등’

정부 전망치인 2.9%를 달성하려면 3,4분기 각각 평균 0.91~1.03% 성장률을 기록해야 한다. 지금의 경기 하강 국면에선 달성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정부는 연간 경제 성장률 3.0% 달성을 목표로 잡았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7월 성장률 전망치를 2.9%로 내렸다. 한은 역시 정부 전망치와 같은 2.9%로 잡았다. 최저임금 여파에 따른 숙박·음식업종 고용 둔화, 제조업 수출 둔화, 일자리 감소 등 각종 경제지표가 악화되자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는데 이 마저도 달성이 쉽지 않게 됐다.

현제 경제지표는 회복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전통적인 고용 창출 효자인 자동차와 조선업이 구조조정 여파로 일자리가 늘지 않고 있고, 양극화에 따른 소득 분배가 최악 수준을 기록하며 소비심리가 위축되는 등 돈이 흐르지 않는 ‘동맥경화’를 겪고 있다. 또 물가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어 종합해보면 한국 경제가 하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올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문제는 하반기 경기가 썩 좋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7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설비투자는 반도체 등 특수산업용 기계 등 기계류에서 감소한 영향으로 전월 대비 0.6% 감소했다. 설비투자의 경우 5개월 연속 감소세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0년 만의 최장 감소기록이다.

건설투자도 3개월 연속 감소세다. 건설경기를 보여주는 건설기성은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심각한 것은 SOC 예산이 갈수록 줄고 있다는 것이다. 2019년 예산 정부안을 살펴보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올해 15조1498억원에서 14조6961억원으로 4537억원(3.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이후 4년 연속 하락세다.

고용도 좀처럼 회복될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7월 취업자는 2,708만 3천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5천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취업자 증가폭이 1만명 아래로 내려간 것은 2010년 1만명 감소 이후 8년 6개월 만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