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손에 쥐는 돈 줄어드는 편의점주
상생안 내놓았는데 또 고통분담 떠넘길까 우려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10.9% 오른 8350원으로 결정되자 인상에 따른 후폭풍이 편의점 업계를 강타하고 있다.  사진은 업계 1,2위인 CU와 GS 편의점.[사진 / 시사포커스 DB]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10.9% 오른 8350원으로 결정되자 인상에 따른 후폭풍이 편의점 업계를 강타하고 있다. 사진은 업계 1,2위인 CU와 GS 편의점.[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최저임금 인상이 얼마나 오를지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계속 지켜봤는데 두 자릿수 인상을 보고 하루 세끼 먹을 것 한끼 줄인 두끼만 먹고 살아야 할 것 같네요.”

서울 마포구에서 GS 편의점을 운영하는 김기범 씨(가명)는 내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며 손에 쥐는 돈이 적어질 수 있다는 것에 한숨을 지었다. 편의점 업계의 과열 경쟁으로 편의점 점주들의 매출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폭탄까지 떠안으며 그야말로 ‘죽을 맛’이라는 한 점주의 목소리는 현 편의점이 처한 상황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현실이다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10.9% 오른 8350원으로 결정되자 인상에 따른 후폭풍이 편의점 업계를 강타하고 있다. 편의점 시장이 포화 상태로 가뜩이나 매출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올해 최저임금이 7530원으로 전년 대비 16.4% 상승하며 직원 인건비는 증가한 반면 점주들이 손에 쥐는 돈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편의점 업계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국내 편의점은 대기업이 운영하는 프랜차이즈와 일반 편의점까지 합치면 총 7만개에 달한다. 적은 자본으로 특별한 기술 없이 창업을 할 수 있어 퇴직자들이 몰리면서 편의점 수가 대폭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편의점 5개사의 영업이익률은 1∼4%였으며 올해 최저임금 16.4% 인상 이후 1분기 영업이익률은 0∼1%대로 낮아졌다.

.

최저임금 인상을 반대하는 소상공인ⓒ뉴시스
최저임금 인상을 반대하는 소상공인ⓒ뉴시스

◆최저임금 부담 편의점 본사가 책임져야 하나 ‘격양’

현재 정부는 두 자릿수로 인상된 최저임금 후폭풍이 자영업자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 긴급하게 상황 점검에 나선 상황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17일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 등 편의점 본사 2곳에 대해 현장 조사에 착수했다. 18일 오전에는 산업통상자원부가 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미니스톱·씨스페이스 6개사와 간담회를 갖고 소상공인 지원 대책을 논의한다. 그러나 업계서는 정부의 이같은 행동에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최저임금 인상에 편의점 점주들이 크게 격양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편의점 본사에 책임을 떠넘기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16일 기자간담회에서 “가맹본부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조사를 강화하고 추가적인 법 집행도 강화할 것”이라며 얼음장을 놓았다.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가맹점주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것”이란 게 목적이다. 이 발언이 나온 이후 하루 만에 공정위가 편의점 본사 2곳에 현장 조사에 착수한 것이다.

편의점 업계는 불만이 상당하다. 지난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영업비용 증가로 가맹점주들의 비용 부담이 늘어나 수익성이 악화되는 것을 줄이고자 업계는 지난해 10월 GS를 필두로 CU, 미니스톱이 차례로 상생안을 발표했다. GS25는 최소수입보장 400억 지원, 심야 전기료 350억 등 연 750억원 직접 지원하고, 점포 시스템 개선에도 5년간 5000억 투자키로 했으며, CU(씨유)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가맹점주들과 상생협약을 맺고 5년간 최대 4천5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그런데 이번 최저임금이 두 자릿수로 인상되자 갑자기 부처들이 나서며 만나자고 하자 지원책을 내놓으라는 압박으로 들리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시사포커스>와 통화한 A 편의점 본사 관계자는 “지난해 최저임금 인상 부담을 나눠지기 위해 상생안을 발표하며 고통분담에 나섰는데 올해 역시 또 고통분담에 나서달라고 할까봐 답답하다”고 말했다.

B 편의점 본사 관계자 역시 “현재로선 정부가 어떻게 나올지 상황 추이를 보고 있다”면서도 “정부 정책 문제에 대해 개별 기업이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기업이 해결하라는 것처럼 얘기가 나오고 있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