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7일 기자회견 열고 생존권 사수 투쟁 전개
MBK, 인수금융 갚기 위해 리츠 상장 추진 본격화

홈플러스 양대 노조 및 서비스연맹은 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방적인 매각방침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홈플러스노조
홈플러스 양대 노조 및 서비스연맹은 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방적인 매각방침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서비스연맹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홈플러스 양노조인 홈플러스 일반노조 및 마트노조 홈플러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이 ‘리츠’펀드라는 방식으로 홈플러스 40개 점포를 4조원대 규모로 매각을 추진해 마트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며 일방적인 매각방침을 즉각 중단 철회 촉구와 함께 리츠설립 저지에 나섰다.

서비스연맹은 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리츠 설립에 대해 국토부의 인가는 보류되어야 하고, 정부는 부동산 투자회사가 노동자와 입점업체의 생존권을 위협할 경우 공익적 차원에서 규제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며 “리츠 설립을 저지하고, 노동자와 임차인들의 생존권 사수를 위해 강력한 투쟁을 전개할 것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사모펀드 MBK는 세일앤리스백이라는 유동화 기법으로 부동산 매각을 진행했고, 올해부터는 리츠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매장 80여곳 중 40여곳을 자산으로 하는 리츠(REITs, 부동산투자회사) 설립을 준비 중이다. 리츠는 부동산투자회사법으로 규정되어 있고 국토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홈플러스가 매장을 이 리츠에 넘긴 후 임대료를 내고, 리츠는 홈플러스로부터 받은 임대료를 배당금으로 나눠 주는 형태다.

MBK는 2016년 동대문점 등 5개 매장, 2017년 강서점, 올해는 부천 중동점을 매각하고 11월 폐업하겠다고 발표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 3월 말 국토부에 리츠 자산관리회사 설립을 위한 예비인가를 신청했다. 본인가까지 4~5개월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오는 7~8월께 자산관리회사 인가를 받고 홈플러스 리츠 상장 작업이 본격화할 될 전망이다. MBK는 리츠의 20% 지분을 소유하여 경영권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리츠 상장에 성공하면 홈플러스에 유입되는 현금은 3조6천억원~4조6천억원으로 예상되며 2015년 홈플러스 인수금융(전체 인수가격 7조2천억원) 4조3천억원 대부분을 갚을 수 있다.

홈플러스 매장[사진 / 시사포커스 DB]
홈플러스 매장[사진 / 시사포커스 DB]

그런데 이 과정에서 노조가 문제 삼는 것은 리츠 상장으로 인해 홈플러스의 영업리스크가 가중되고 이후 분할 매각되거나 일부 폐업될 경우 고용 및 생존권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노조는 “리츠 상장으로 홈플러스는 영업권과 브랜드만 남은 껍데기 회사로 전락하여 영업 리스크가 상승하고, ‘사업회사’와 부동산을 보유할 ‘홈플 상장리츠’로 분할돼 사업회사의 자산 규모가 줄어들면, 다른 전략적 투자자에게 매각하기도 쉬어진다”며 “홈플러스는 다양한 인수자에게 분할 매각되거나 일부 폐업 등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유통업체 2위인 홈플러스는 수익률이 감소되고 최악의 경우 공중분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문재인정부의 일자리 창출과 소득주도성장 정책에도 정면으로 위배되는 행위”라며 “리츠가 재개발 사업, 임대주택 분양 등으로 유용한 측면도 있겠지만, 제도적 허점을 이용하여 투자자들의 이익만 챙기고 고율의 임대료로 임차인들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