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의 임금보전 요구, 생산성향상 관련 노사 의견충돌, 인건비 부담 등이 애로
생산 현장(72.3%), 연구개발(22.3%), 영업(19.6%)등이 주요 애로 분야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중복응답)에 대해서는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보전 요구’(35.7%)가 1위를 차지했다. ⓒ한국경제연구원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중복응답)에 대해서는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보전 요구’(35.7%)가 1위를 차지했다. ⓒ한국경제연구원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다음달 1일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 하는 기업들의 절반이상이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또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은 노조의 임금보전 요구가 1순위로 꼽혔다.

6일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2017년 매출액 600대 기업 중 7월 1일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하는 업종에 속한 372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55.4%(62개 기업)가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19.6%(22개 기업)는 긍정적 영향을 예상했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중복응답)에 대해서는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보전 요구’(35.7%)가 1위를 차지했다. ‘생산성향상 과정에서 노사간 의견 충돌’(35.7%)이 뒤를 이었고, ‘계절적 요인 등 외부 수요변화에 따른 생산조절 능력 저하’(29.5%), ‘종업원 추가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8.6%), ‘신제품개발 및 연구개발 기능 저하’(15.2%), ‘협력업체 납기지연에 따른 생산차질(1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많은 애로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중복응답)와 관련해서는 72.3%(81개 기업)가 생산현장인 공장이라고 응답했다. 뒤를 이어 연구개발 부서(22.3%), 영업 부서(19.6%), 인사부서(13.4%) 등의 순서로 조사됐다. 이는 7월 1일부터 시행되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공장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연구개발 및 영업활동이 위축될 수도 있다는 기업들의 우려를 반영한 결과라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주요 대응계획(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생산성 향상 대책 추진’ (74.1%), ‘신규인력 채용’(27.7%), ‘일부 업무외주화’(12.5%), ‘해외공장 이전 검토’(1.8%)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주로 생산성향상을 통해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할 계획인 것으로 해석된다.

55.4%(62개 기업)가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19.6%(22개 기업)는 긍정적 영향을 예상했다. ⓒ한국경제연구원
55.4%(62개 기업)가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19.6%(22개 기업)는 긍정적 영향을 예상했다. ⓒ한국경제연구원

 

생산성향상을 주요 대응계획으로 선택한 기업(83개)을 대상으로 대책을 조사(중복응답)한 결과 생산현장은 ‘교대제 개편’(50.6%)이 1순위로 꼽았고, ‘근로시간 유연화’(32.5%), ‘스마트공장 추진’(31.3%), ‘인력전환배치’(22.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사무?연구개발 분야는 ‘유연근로시간제 실시’(54.2%), ‘집중근로시간제 실시’(43.4%), ‘칼퇴근 문화정착’(34.9%), ‘회의시간 축소’(25.3%)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에 한경연은 오는 7월 1일부터 시행되는 근로시간 단축에 대비해서 사무?연구개발, 생산현장 등 기업 전 분야에서 근로시간 유연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했다.

근로시간 단축이 향후 노사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 영향 58.9%(66개사), 긍정적 영향 24.1%(27개사), 영향 없음 17.0%(19개사)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기업(66개)들은 ‘노조의 임금보전 요구에 따른 임금협상 난항’(66.7%), ‘인력전환 배치 과정 노사의견 차이’(13.6%), ‘근로효율성 제고 과정에서 노조 갈등’(12.1%), ‘생산공정 신속화 과정에서 노사 간 갈등’(4.5%) 등을 이유로 답했다. 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기업(27개)들은 ‘불필요한 업무감소’(40.7%), ‘일가정 양립에 대한 인식공유’(40.7%), ‘생산성향상을 위한 노사간 협의 활성화’(18.6%) 등을 이유로 답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