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은 연구개발, 중소기업은 기능인력 크게 부족

대기업은 R&D(연구개발)인력이, 중소기업은 기능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산하 산업기술인력 아웃플레이스먼트센터(소장 김정태)는 산업자원부와 공동으로 전국 50명이상 686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해 12일 발표한 '2004년 산업기술인력 수요조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산업기술인력을 R&D인력, 관리·기획인력, 현장기술인력, 기능인력으로 나눠 인력부족 여부를 질문한 결과, 586개 중소기업 중 45.7%가 '기능인력 부족'을 꼽아 가장 많았고 '현장기술인력 부족'(44.6%), '관리·기획인력 부족'(41.6%), 'R&D인력 부족'(41.6%. 복수응답) 순으로 나타났다. 100개 대기업의 경우, 'R&D인력'(26.3%)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꼽았고 '기능인력'(17.7%), '관리·기획인력'(13.1%), '현장기술인력'(10.0%. 복수응답) 순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아웃플레이스먼트센터는 "전반적으로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산업기술인력의 인력난이 훨씬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중소기업에 대한 기피현상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산업기술인력의 취업경로로는 '인터넷 활용'이 대기업(38.9%)과 중소기업(31.7%) 모두 가장 많았고 '공공 직업안정기관'을 이용하는 비율은 대기업의 경우 8.7%, 중소기업의 경우 14.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산업기술인력 채용 시 기업의 애로 사항으로는 '임금·근로조건 등 취업자의 과다한 기대'라는 응답이 대기업(38.9%)과 중소기업(31.7%) 모두 가장 많았으며 '필요능력과 구직자간 능력 차이'(대기업 12.7%, 중소기업 24.4%), '대기업 선호현상'(8.7%, 14.8%), '기술인력 절대 부족'(12.7%, 10.4%) 등으로 조사됐다. 전직지원제도 활용여부에 대해 대기업은 7.6%, 중소기업은 5.1%만이 활용한다고 대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일시에 발생하는 퇴직자의 수가 적어 활용이 어렵다'는 답이 대기업 43.6%, 중소기업 25.7%로 가장 많았고 '절차가 너무 복잡하다', '기업의 비용부담 때문' 등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