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산업개발, 법조계 출신 및 관료 출신 영입
GS건설, 사장도 법조계 사외이사도 법조계

현대산업개발 새 사외이사로 영입된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사진, 좌). 신 전 위원장은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을 맡고 있다.  GS건설은  검찰총장 출신 정상명 변호사(사진, 우)를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현대산업개발 새 사외이사로 영입된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사진, 좌). 신 전 위원장은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을 맡고 있다. GS건설은 검찰총장 출신 정상명 변호사(사진, 우)를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올해 건설사들의 주주총회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사외이사진들 구성을 보면 ‘외풍’ 바람막이용인 관료 및 법조계 출신들이 여전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올해 주총에서도 새롭게 선임되는 사외이사진에 법조계 출신의 면면이 드러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건설사들의 주총에서 선임되는 사외이사진에 눈길이 모아지고 있다. 작년에 조기대선과 국정농단 사건으로 사외이사진에 고위 관료 및 법조계 출신들이 눈에 띄었다. 올해 역시 법조계 출신 인사들이 사외이사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대산업개발과 GS건설이다.

현대산업개발은 23일 서울 용산 현대아이파크몰에서 정기주주총회를 열어 신규 사외이사 선임 안건을 처리한다. 사외이사진에는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 출신으로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인 박용석 사외이사 재선임 안건을 의결한다. 박용석 사외이사는 2012년부터 맡아왔으며 임기는 1년이다. 올해 새로 선임되는 사외이사는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 김진오 전 창원지방법원 부장판사, 이방주 전 한국주택협회장 등 3명이다.

김진오 전 부장판사는 법무법인 동인 변호사로 사외이사후보추전위원회를 거쳐 이름을 올렸다. 임기는 1년으로 감사위원에도 이름을 올렸다.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이다. 신 전 위원장은 24회 행정고시 출신으로 국제금융심의관, 대통령비서실 국민경제비서관으로 근무했고,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 국장,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을 거쳐 2011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과 기획재정부 제1차관을 지낸 정통 관료 출신이다. 신 전 위원장은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을 맡고 있다. 정몽규 회장이 지난 2월 부동산114인수를 완료하고 종합부동산인프라그룹 도약을 목표로 빅데이터 및 부동산개발 정보를 활용해 관리·운용·금융서비스·부동산컨설팅·리폼 비즈니스 등에서 시너지를 내기 위해 금융통인 신 전 위원장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신 전 위원장의 사외이사 임기는 3년으로 새로 선임된 이사진 가운데 가장 길다. 감사위원으로도 신규 선임되며 임기 역시 3년이다.

GS건설 역시 새 사외이사에 법조계 출신을 영입한다. 임병용 GS건설 사장이 검사 출신인데 이어 영입에 나선 것이다. 현재 사외이사인 권도엽 전 국토해양부 장관 역시 김앤장 고문을 역임했다. 정상명 변호사는 주식회사 효성 사외이사를 역임 중이며, 투명경영위원회 대표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대표적인 '특수통' 검사로 2002년 법무부 차관2003년 대구고등검찰청 검사장, 2005년 대검찰청 차장검사를 거쳐 같은 해 검찰총장에 올랐다. 지난해 재건축 사업을 수주한 단지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수사에 나서면서 수사 칼끝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황에서 법조계 출신을 사외이사로 영입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선 지배구조 개편에서 혹시 모를 법률적 문제를 대비하기 위한 포석용이라는 분석이다. 일단 GS건설은 이같은 관측에 법무적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이처럼 사외이사에 관료 출신 및 법조계 출신 인사들이 많아지면서 로비용 수단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사외이사가 대형 로펌의 고문을 맡고 로펌이 회사의 자문 등을 해주는 경우도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 또 전직 관료출신을 영입 전관예우에 활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각종 인허가를 비롯한 규제를 양산하고 퇴임한 전직 관료 출신들이 기업에 들어가 경영진에 대한 견제 역할 보다 방패막이 역할을 한다는 지적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국내 대기업의 사외이사 구성을 보면 관료 출신이 많고 이 가운데 법원 검찰 청와대 등 권력 기관 선호도가 높다는 게 경영진 견제 보다 다른 의도로 영입하는 의구심 때문에 계속 지적이 되고 있다”면서 “외국 사례처럼 전문직 출신을 사외이사로 영입하는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