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1월 초 근로자 사망 이어 3월 4명 목숨 잃어
안전관리시스템 미작동 이전에도 위반사항 수차례

포스코 계열사에서 연이은 사고가 잇따라 터지면서 ‘안전불감증’이 연일 도마에 오르며 안전관리 강화가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포스코 계열사에서 연이은 사고가 잇따라 터지면서 ‘안전불감증’이 연일 도마에 오르며 안전관리 강화가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포스코 계열사에서 연이은 사고가 잇따라 터지면서 ‘안전불감증’이 연일 도마에 오르며 안전관리 강화가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건설은 올해 신년 초 송도국제도시 내 송도 더샵 센트럴시티 47층 신축 현장에서 일용직 근로자가 사망한데 이어 두 달도 안돼 지난 2일 발생한 부산해운대 엘시티 초고층 공사현장에서 4명이 추락해 사망했다. 지난 1월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질소가스 누출로 하청 근로자 4명이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올 초 당시 포스코건설 한창건 사장은 신년사에서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언제, 어디서든, 누가 보지 않아도 마치 호흡 하듯이 안전관리를 생활화 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한지 2주도 안되어 근로자 사망사고가 발생 안전 불감증이 도마에 오른바 있다. 그런데 두 달도 안돼 부산 해운대 엘시티 A동(85층) 공사 현장 55층에서 공사장 구조물이 200m 아래 지상으로 떨어지며 근로자 3명을 포함해 4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다.

한 사장에 이어 2일 포스코건설 사장에 취임한 이영훈 사장은 취임사에서 “산업현장의 최상위 가치는 안전”이라며 “1%의 실수는 100%의 실패라는 사실을 잊지 말고 임직원 모두 지행합일의 정신으로 안전경영을 실천해야 한다”고 당부한 날 사고가 터지면서 안전관리 강화는 뒷전인 채 헛구호만 외치는 모습이다. 신년 초부터 연이어 사망사고가 발생하며 포스코건설이 안전에 소홀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번 부산 엘시티 공사현장에서 4명의 사망이 발생한 원인도 안전관리 불감증이 빚어낸 인재로 드러나고 있다. 부산 해운대경찰서에 따르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지난 3일~4일 두 차례 사고 현장을 감정한 결과 사고 당일 구조물을 지지하는 고정 장치와 안전작업발판 등을 확인하는 안전관리와 점검 절차가 작업 전에 행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포스코건설이 부산 해운대 공사현장에 인명사고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0년 7월 해운대 아이파크(최고 72층) 공사 현장에서 3명이 추락해 목숨을 잃었다. 작업시간을 줄이려고 외벽작업발판(RCS폼) 고정핀 6개 중 4개를 사전에 제거한 게 원인이었다. 2004년에는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 더 센텀파크(최고 50층) 공사현장 34층에서 엘리베이터 작업을 하던 작업자 3명이 1층으로 추락해 숨졌다.

국토교통부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2014~2016년)간 포스코건설은 시공한 현장에서 발생한 산재 사고로 사망한 인원이 9명에 달한다.

포스코 계열인 포항제철에서도 지난 1월 2014년 만들어진 산소공장 내 냉각타워에서 냉각기 충진제 교체작업 중 질소가스 누출로 하청 근로자 4명이 목숨을 잃었다. 당시 포스코는 “특별감독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고, 지적사항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신속히 개선·보완하겠다"며 "안전시설물과 장비를 보다 첨단화·실용화하고, 안전보건공단 등 외부 전문기관의 진단을 받아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현해 다시는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2달 남짓 기간 동안 포스코 계열사에서 안전불감증으로 목숨을 잃은 근로자만 9명에 달한다. 포스코 건설은 이전에도 현장 점검에서 안전교육 미실시 등 위반사항이 적발돼 여러 조치를 받았다. 일각에선 포스코의 안전시스템 관리를 전면 손질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사고가 터진 후 철저한 원인 규명에 나서는 ‘사후 약방문식’ 대처로는 한계가 잇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선 발주자의 안전관리 책임 부여 및 원도급인 안전관리 책임 강화 등을 추가하는 입법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한 업계 관계자는 “건설업계의 안전관리시스템으로는 산업재해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며 “입법 장치를 통해 안전 강화에 고삐를 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