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LTE-M’ 통신 모듈 대비 전력효율 높아지고 가격은 낮아져
MWC에서 IoT블랙박스, 혈당측정기기 등 ‘LTE Cat.M1’ 적용서비스 시연

‘LTE Cat.M1’의 전력 효율은 기존 ‘LTE-M’의 수십 배 수준으로 높으며, 통신 모듈 가격은 기존 대비 30% 이상 저렴하다. ⓒSK텔레콤
‘LTE Cat.M1’의 전력 효율은 기존 ‘LTE-M’의 수십 배 수준으로 높으며, 통신 모듈 가격은 기존 대비 30% 이상 저렴하다. ⓒSK텔레콤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SK텔레콤은 ‘로라’ 망에 이은 또 하나의 IoT 전국망인 ‘LTE Cat.M1’ 구축을 완료하고 4월 상용화에 나선다.

21일 SK텔레콤은 IoT 전국망인 ‘LTE Cat.M1’ 구축 완료 및 4월 상용화 계획을 밝히며 기존의 ‘하이브리드 IoT망’을 업그레이드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LTE Cat.M1’ 전국망 구축이 5G 시대의 IoT 산업의 판도가 변할 것으로 전망했다. ‘LTE Cat.M1’은 국제 표준화단체 3GPP에서 표준화한 기술로, 저용량 동영상과 HD급 사진/음성 전송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LTE Cat.M1’의 전력 효율은 기존 ‘LTE-M’의 수십 배 수준으로 높으며, 통신 모듈 가격은 기존 대비 30% 이상 저렴하다. 이에 IoT 기기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어 다양한 제조사들의 시장 진입이 유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고객들의 가격 부담은 줄어들 수 있어 IoT 생태계도 활성화될 것이란 관측이다.

이번 상용화로 SK텔레콤은 저전력·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로라(LoRa)’ 망과 함께 완벽한 IoT 망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2016년 7월 IoT 전용망인 로라(LoRa) 망 전국 구축을 완료해 2016년 3월 기 구축한 ‘LTE-M(LTE Cat.1)’과 함께 하이브리드형 IoT 전국망을 선보인 바 있다.

SK텔레콤은 ‘LTE Cat.M1’·‘LTE-M’은 영상·사진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서비스에 활용하고, ‘로라’ 망은 단순 모니터링 및 컨트롤이 필요한 소용량·저속 IoT 서비스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현재까지 국내 1,200여 개 파트너社와 150여개 IoT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2017년 3월에는 IoT 분야 벤처·스타트업이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하고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SK텔레콤 IoT 오픈하우스’도 개소했다.

SK텔레콤 허일규 IoT/Data사업부장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멀티 IoT 전국망을 보유하고 있는 SK텔레콤은 초연결 시대를 위한 다양한 IoT 기술과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다양한 IoT파트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IoT 생태계 활성화는 물론이고 업계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3월 중 망 안정화 및 최적화를 마친 후, 4월부터 ‘LTE Cat.M1’을 가동할 계획이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번 MWC 2018에서 선보일 ‘LTE Cat.M1’ 기반 ‘블랙박스모뎀’과 ‘혈당측정관리기’도 이날 공개했다. ‘LTE Cat.M1’을 활용하면 주차 차량의 블랙박스에서 촬영된 영상을 모바일로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통합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도 가능해진다. 해당 서비스들은 전력 효율이 낮고 통신 모듈 가격이 높아 LTE 통신망을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노출됐지만 ‘LTE Cat.M1’ 상용화로 서비스 개발이 용이해졌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