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신시장 개척 등 시장 다변화 모색
세아제강, 미국 현지 생산법인 최대한 활용
정부, 민관합동 대책회의 마련…美 설득 외엔 ‘묘수’ 없어

철강 수출국에 적용할 ‘무역확장법 232조’ 보고서를 백악관에 제출하면서 철강업계 중 현대제철은 신시장 개척 등 시장 다변화를 모색한다는 구상이다. 세아제강은 미국 현지 생산법인을 최대한 활용 피해를 최소화 한다는 방침이다.  ⓒ각사
철강 수출국에 적용할 ‘무역확장법 232조’ 보고서를 백악관에 제출하면서 철강업계 중 현대제철은 신시장 개척 등 시장 다변화를 모색한다는 구상이다. 세아제강은 미국 현지 생산법인을 최대한 활용 피해를 최소화 한다는 방침이다. ⓒ각사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미국 상무부가 철강 수입이 미국 경제와 안보를 손상한다며 자국에 대한 철강 수출국에 적용할 ‘무역확장법 232조’ 보고서를 백악관에 제출하면서 국내 철강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의 뾰족한 대응책이 없는 상황에서 철강업계 중 현대제철은 신시장 개척 등 시장 다변화를 모색한다는 구상이다. 세아제강은 미국 현지 생산법인을 최대한 활용 피해를 최소화 한다는 방침이다.

19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3가지 방안 중 어떤 조치에 따라 대응방안이 결정되기 때문에 현재로선 섣불리 판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16일(현지시간) ▲한국을 포함한 12개국에 53%의 관세 적용 ▲모든 철강제품 수입에 일률적인 24% 관세 부과 ▲국가별 대미 수출액을 2017년의 63%로 제한 등 3가지 방안을 권고했다. 일단 철강업계는 3가지 방안 중 미 트럼프 대통령이 4월11일 최종 조치를 결정할 때까지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현대제철, 세아제강 등 주요 철강사들은 미국의 고강도 철강수입 규제 권고안이 발표되자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사색된 분위기다. 개별 철강사들이 나서서 미국 정부의 철강 통상압박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마땅한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미국 정부를 상대로 철강사들이 대응 수단이 없어 정부의 대책 마련에 따라 움직여야 하는 상황이다”며 “일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시장 개척 등 시장 다변화와 업계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미국 통상압박에 대응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 상무부가 권고안 3가지 안 중 결정된 것에 따라 대책 수립에 나설 수밖에 없다”며 “현재로선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향 유정용 강관 수출 비중이 높은 세아제강 타격도 불가피하다. 미국 수출액은 세아제강 전체 매출액의 20~30%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유정용 강관 비중이 40~50%에 달한다. 세아제강의 미국 유정용 강관 반덤핑 관세율은 현재 6.66%다. 관세가 인상될 경우 매출 타격이 클 것이란 분석이다. 일단 세아제강은 미국 현지 생산법인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세아제강은 2016년 11월 미국 휴스턴에 위치한 유정용강관 제조 및 프로세싱 업체 두 곳 자산을 약 1억달러에 인수한 이후 'SSUSA(SeAH Steel USA, LLC.)'라는 생산법인을 설립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을 포함한 12개국에 53%의 관세 적용 ▲모든 철강제품 수입에 일률적인 24% 관세 부과 ▲국가별 대미 수출액을 2017년의 63%로 제한 등 3가지 방안을 오는 4월11일까지 최종 결정한다. 사진은 한국 국회에서 연설한 트럼프 대통령.  [사진 / 시사포커스 DB]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을 포함한 12개국에 53%의 관세 적용 ▲모든 철강제품 수입에 일률적인 24% 관세 부과 ▲국가별 대미 수출액을 2017년의 63%로 제한 등 3가지 방안을 오는 4월11일까지 최종 결정한다. 사진은 한국 국회에서 연설한 트럼프 대통령. [사진 / 시사포커스 DB]

철강업계로선 정부의 대응에 기댈 수밖에 없지만 정부도 뾰족한 묘수가 없다는 게 가장 큰 고민이다.

현재 정부로선 발등의 불끄기에 급급한 모습이다. 연휴에도 불구하고 포스코 권오준 회장, 현대제철 강학서 사장, 동국제강 임동규 부사장, 세아제강 이순형 회장, 동부제철 김창수 사장, 고려제강 박창희 사장, 휴스틸 김영수 부사장, 한국철강협회 송재빈 부회장 등 철강업계 CEO들이 한국기술센터에서 백운규 장관이 직접 주재한 민관합동 대책회의에 참석했다. 철강 수출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데 인식을 공유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 등을 논의하고 방안 강구에 나섰지만 특별한 대책은 보이지 않는다. 방안 중 하나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가 거론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승소하기도 쉽지 않다. 무엇보다 정부가 승소하더라도 미국이 이에 따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일단 정부는 미국이 아직 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기에 정부는 최종 결정전까지 최대한 미국을 설득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