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매출증가 5년간 ‘2배이상’…GS25 127% 사업순익
'양극화'…가맹점주와 편의점회사 매출수수료 문제
최저임금 인상에, “본사 지원책 미비”…CU, ‘눈치보기‘

▲ GS리테일에서 GS25 편의점사업이 가져다 준 영업이익은 올해 3분기누적 기준 127.5%를 차지했다. GS리테일은 파르나스호텔에서 8.9%(120억)의 수익을 낸 것 외에 GS리테일 슈퍼마켓, 왓슨스코리아, 해외사업 등에서 457억원을 손실을 냈지만 GS25에서 영업이익을 모두 만회하고도 27.5%를 남겼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강기성 기자] 내년부터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편의점 가맹점주의 부담이 늘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GS25‧CU‧세븐일레븐‧미니스톱 등 편의점 업계의 현 상황과 문제들을 짚어보고, 이중 CU와 GS25가 가맹점주들을 대상으로 꺼낸 지원책의 문제점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 편의점 매출증가 5년간 ‘2배이상’…GS25는 리테일 손실덮고도 남아
27일 IB업계에 따르면 GS리테일에서 GS25 편의점사업이 가져다 준 영업이익은 올해 3분기누적 기준 127.5%를 차지했다. GS리테일은 파르나스호텔에서 8.9%(120억)의 수익을 낸 것 외에 GS리테일 슈퍼마켓, 왓슨스코리아, 해외사업 등에서 457억원을 손실을 냈지만 GS25에서 영업이익을 모두 만회하고도 27.5%를 남겼다. 앞서 GS리테일이 GS25에서 거둬들인 영업이익은 2015년 83.5%(1885억원), 2016년 (3분기까지) 비중이 96.7%로 증가했고, 2017년 (3분기누적) 127.5%까지 이르러 전체 사업의 손실을 30%가량 상쇄하는 수준에 다다랐다. CU,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등도 이 같이 편의점 영업으로 매출과 이익이 대폭 증가한 것은 마찬가지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가맹점주들의 상황은 상대적으로 열악 내지는 악화됐다. 이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는 GS25 등 4대 편의점의 매출액 증가와 가맹점주들의 매출 증가를 비교한 자료를 공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2015년 5년간 4대 편의점의 매출액은 6조7671억원에서 14조5953억원으로 7조8332억원(116%) 증가했는데 가맹점주들의 매출은 같은 기간 5억650만원에서 5억8875만원으로 8225만원(16%) 증가하는데 그쳤다. 즉, 편의점 본사와 가맹점주 매출액 증가율은 5년 동안 7배 차이를 보인 것이다.

◆ 가맹점주와 편의점 회사간 ‘양극화’?…‘매출 수수료 논란’
이 같은 점주와 회사 간 양극화(?)는 편의점 본사가 가맹점주에게 거둬들이는 매출 수수료 때문이다. 편의점 본사는 점주 월 매출의 약 30~40%를 수수료를 가져간다. 편의점의 수익구조는 본사에서 물품을 주면, 점주는 매출을 떼주고, 남긴 이익으로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고 이익을 남긴다. 곧, 가맹점주는 매출을 본사에 떼어 준 나머지 금액으로 점포유지보수비. 통신비, 전기세, 신용카드수수료 그리고 인건비를 지출한다. 한 편의점주는 “매출이 크던 작던, 본사는 일정한 수준의 이익은 빠지지 않고 챙기는 구조다. 남은 수익은 점주가 고스란이 부담하는 고정비용”이라며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인건비 부담이 커져 비용에 대한 본사의 지원이 없으면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지경”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기가 좋지 못함에도 빼빼로데이 등 각종 행사가 있을 때 본사에서 주는 하달량으로 인한 손해도 무시 못 한다”고 덧붙였다.
 
▲ 가맹점주는 매출을 본사에 떼어 준 나머지 금액으로 점포유지보수비. 통신비, 전기세, 신용카드수수료 그리고 인건비를 지출한다. 한 편의점주는 “매출이 크던 작던, 본사는 일정한 수준의 이익은 빠지지 않고 챙기는 구조다. 남은 수익은 점주가 고스란이 부담하는 고정비용”이라며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인건비 부담이 커져 비용에 대한 본사의 지원이 없으면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지경”이라고 말했다. ⓒ 뉴시스

편의점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다보니 돈이 될 만한 주상권도 거의 포화상태다. 한국편의점협회에 따르면 편의점 점포수는 2012년(2만4559개)에서 2016년(3만3300개)로 4년만에 36%(8741개)증가했다. 올해 11월말 현재 이마트24가 추가돼 주요 5개 편의점(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만 점포수가 3만4252개에 달한다.

◆ 편의점 간 시장점유 경쟁…휘청이는 가맹점주
이제 편의점 회사들은 신규 출점보다 서로 기존 시장 빼앗기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편의점 매출 수수료는 각 업체와 점주 간 혹은 업체끼리의 경쟁의 도구가 되기도 한다. 10여년 동안 편의점을 운영해 온 서울 중심부의 한 편의점주는 ‘처음 편의점을 낼 때만해도 상권이 좋아 매출이 꽤 나왔다. 장사가 잘 돼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한 회사로 한차례 바꾸기도 했다. 하지만 매년 골목골목에 편의점들이 들어서면서 매출이 절반이상 줄어들었다“며 ”거리뒤쪽의 편의점들은 폐점하고 바뀌는 경우가 수차례 있었다“고 말했다. 최근엔 이마트24가 타사에 비해 낮은 매출 수수료 비율을 제공하면서 기존 편의점들을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 편의점 매출 전망도 좋지 못하다. 각종 PB상품이 늘었으나 올리브영, 왓슨스 등 H&B스토어와 제과 등 타 프랜차이즈와 겹치는 품목도 늘었다. 가격으로 승부하는 SSM이 점차 늘고있고, 신세계에서는 중간 형태의 노브랜드 매장도 내놨다.

또 하나 점주 입장에서 발목을 잡는 것은 바로 ‘위약금’이다. 적자가 끊이지 않아 편의점을 폐업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본사가 향후 몇 년 동안 얻을 수 있는 수입수준의 위약금을 계산해 가져가기 때문이다. 이 돈은 최소 몇천만원 선이다. 많은 점주들이 위약금을 감당하기 힘들어 적자나 몇 십만원의 수익에도 불구하고 아등바등 영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편의점 업계에서는 본사에서 우후죽순으로 가맹점을 만들어 놓고 위약금을 노려 폐업하기를 바란다는 뒷말이 오가기도 한다. 실제 지난 2013년 4월 편의점 점주 세 명이 경영문제로 추정되는 이유로 자살했다.

◆최저임금 인상에, “본사 지원책 미비”…CU, ‘눈치보기‘
▲ ⓒ BGF리테일

내년 최저임금인상으로 가맹점주들이 불만을 터뜨리자 가맹점주들과는 먼 발치 떨어졌던 편의점 업체들은 ‘정부 눈치보기식’ 상생안을 발표했다. 지난 7월 GS25측은 문재인 대통령과 재계면담을 앞두고 최저임금 정책에 대비한 지원책을 내놨다. 또 다른 편의점업계의 한 축인 CU는 잠잠히 있다가 최근 ‘상생안'을 내놨는데, CU가맹점주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쳤다. CU의 경우 신규 점포 대상으로만 최저 수입 보장액 120만원을 증액하고 월 최대 30만원의 폐기지원금을 신설했는데, 기존 점포에 대해 전산‧간판 유지관리비와 심야 전기료 지원만 제시했다. 한 가맹점주 연합회 관계자는 “CU측은 정부눈치를 보다가 연말에 분위기가 가라앉자, 신규점포에도 세부 단서조항을 달고는 허울뿐인 대책을 제시했다”며 “CU가맹점주의 비대위를 구성해 사측과 대립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무엇보다 이미 편의점 시장이 포화됐고, 신규 점포가 생기는 경우도 많지 않을 것이고, 기존 타사 편의점 자리 경쟁에나 지원금이 이용될 것이기 때문에 본사가 순수 가맹점주들에게 지불하는 비용은 많지 않다는 분석이다. CU점주들은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매달 고작 8만원에서 많아야 25만원 수준이라고 추산한다.

그나마 GS25는 후한 편이다. GS리테일은 지난 7월 상생안에서 신규와 기존 점포를 모두 대상으로 해 최저수입보장 규모를 연5000만원에서 9000만원으로 인상(총 부담액 400억원)하고 심야 영업시 전기료도 100%지원(350억원)한다. 세븐일레븐과 미니스톱 등 타 업체는 CU에서 최종결정되는 수준을 따라 조정할 전망이다.
▲ ⓒ GS리테일
GS25의 경우 CU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맹점주들의 반발은 적다. 하지만 이 역시 아쉬운 목소리가 나오긴 마찬가지다. 한 점주는 “별 다른 얘기가 아니다, 최저임금 이슈가 있기 전부터, 매출이 우수한 편의점 등에 대해 본사가 걸어놓았던 프리미엄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한 익명을 전제로 한 GS편의점주는 “본사에서 전기료를 100% 지원한다고 하는데, 번화가가 아닌 이상 50만원을 전액 받기는 힘들어 지원금은 크지 않다”며 “전체 매장의 매출, 비용 등의 통계치를 모두 가진 본사에서 가장 손해가 덜 나게끔 해 나온 계산치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GS25 관계자는 “2018년도 최저임금을 대비해 새롭게 설정한 지원책”이라며 “최저수입보장 등 하한선과 전기지원금을 올린 것은 실제 인건비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점포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편의점 본사들은 핀테크라며 인건비 부담을 줄이려는 취지로 소비자가 직접 바코드 등을 통해 구매하는 무인시스템 개발도 진행되고 있으나, 매출의 40%를 차지하는 주류와 담배 등은 직원이 직접 판매하지 않으면 법에 저촉된다는 점, 또 사용가능한 연령을 고려해야 하는 점 등 기술적인 과제도 남아있다. 결과적으로 가맹점주들은 한동안 비용부담을 덜기 힘들다는 게 편의점업계의 중론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