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부동산 대책 100일…서울 주택가격, 연착륙
경기 입주 물량 쏟아져…깡통주택? 보완책 必

▲ 8‧2부동산 정책이 시행된 이후 100일이 지났다. 시행 당시 대폭 하락했던 서울시 아파트 시세는 최근 소폭 상승세를 보이면서 과거 평년수준의 안정세를 회복하고 있고, 전세값도 점차 가라앉는 분위기다. 특히 다량 입주물량이 쏟아지는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하락세를 띨 것이라며 집을 팔아도 나가는 세입자에게 대출과 전세보증금을 갚지 못하게 되는 깡통주택이 다량 드러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강기성 기자] 8‧2부동산 정책이 시행된 이후 100일이 지났다. 시행 당시 대폭 하락했던 서울시 아파트 시세는 최근 소폭 상승세를 보이면서 안정세를 회복하고 있고, 전세값도 점차 가라앉는 분위기다. 특히 다량 입주물량이 쏟아지는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하락세를 띨 것이라며 집을 팔아도 나가는 세입자에게 대출과 전세보증금을 갚지 못하게 되는 깡통주택이 다량 드러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13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서울지역 아파트 1㎡당 평균매매가는 8월 14일 617만원에서 11월 6일 627만원으로 10만원(1.62%) 올랐다. 아파트 가격은 8‧2 대책 이후 바닥을 쳤다가 안정세로 연착륙중이다. 전세가격은 405만원에서 409만원으로 4만원(1%) 오르는 데 그쳤다. 전세비율은 65.6%에서 65.2%로 0.3% 낮아졌다.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가격변동지수(+‧상승, -‧하락)는 작년 말 이후 5월부터 한때 최고치까지 올랐다가, 8‧2 대책이후 차츰 안정‧회복세다. 가격변동지수는 지수 100을 기준으로 놓고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 변동을 지수화시킨 통계치다. 아파트 가격변동지수는 8‧2 대책 전인 7월 31일 최고치인 0.37%에서 11월 6일 0.17%로 상승세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전세 가격변동지수 역시 아파트 매매가와 마찬가지로 떨어지는 추세며 8‧2대책 전 최고치 0.12%에서 11월 6일 현재 0.05%로 두 배 이상 상승 변동 폭이 사그라졌다. 아파트 가격 변동지수(0.17%)는 전세지수(0.05%)에 비해 11월 6일 현재 3배 이상 컸다.
 
올해 이후 대량 입주물량이 예상되는 수도권의 경우에 아파트 매매가격의 변화는 없지만, 향후 입주가 시작되면서 전세 시장에서 큰 변화가 예상된다. 경기도의 올해 입주물량은 지난해에 비해 45%늘어난 12만7127가구에 달하고, 전국적으로는 약 38만 가구다.

경기도 화성시의 경우 아파트 매매가격변동지수는 ‘0’으로 수렴한 반면, 같은 기간(8월14일~11월6일) 289만원에서 292만원으로 3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전세값은 222만원에서 220만원으로 2만원 떨어졌다. 화성시의 올해 입주물량은 1만 4651가구로 연간 입주 물량은 최고치를 기록했고, 내년에는 2만2743만 가구의 입주물량이 추가로 쏟아질 예정이다. 2019년에도 물량 폭주는 이어진다.
 
올해 말까지 모두 6000가구가 채워지는 용인 주택시장도 내년에 1만 6000가구가 준공된다. 용인시의 11월 6일 기준으로 아파트 매매가 309만원, 전세가는 258만원으로 8월 이후 변화는 없으며 차츰 입주자들이 폭증함에 따라 전세가격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1달간 거래량은 화성시는 4131건 증가했고, 용인시는 3500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 거래량이 12만3000건 줄어들고, 서울시에서 1만4688건 줄어들었던 것과 상반된다.
 
한편, 동탄·용인 등을 중심으로 경기도 지역에서 내년부터 입주물량에 이어 입주자들이 쏟아질 것으로 보여 전셋값이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전세값이 하락폭이 클 경우 매매가도 함께 하락하게 되는데, 세입자들 중 입주아파트로 거주지를 옮기면서 기존 계약했던 전세 보증금도 받지 못하는 ‘깡통주택’이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가 8·2부동산 대책을 통해 실거주수요로 돌리려는 과정중에, 대란이라 이를만큼 턱없이 올라간 전세값으로 인해 서민들의 입을 수 있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후속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기존주택 매각 지연, 잔금대출 확보 어려움 등에 따라 미입주까지 더해져 전세물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고, 또 다른 관계자는 “부동산 정책이 아닌 실거주민들이 내집마련에 어려움이 없도록 ‘전세금보장보험’등 정부의 복지차원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