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토 핵실험으로 인한 환경 방사선 준위 변동은 없어

▲ 13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6차 북한 핵실험 직후 상황반을 설치해 24시간 운영하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원장 성게용)의 전문팀과 함께 방사성 핵종에 대한 탐지 활동을 수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 ⓒ원자력안전위원회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북한 6차 핵실험과 관련 공기 중 제논이 일부 검출됐지만 핵실험과 연관성은 확인하지 못했다.

13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6차 북한 핵실험 직후 상황반을 설치해 24시간 운영하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원장 성게용)의 전문팀과 함께 방사성 핵종에 대한 탐지 활동을 수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원안위는 방사성 제논에 대해서는 동북부와 서부 지역에 설치된 2개의 고정식과 해상에서의 이동식 장비를 활용해 12시간 간격으로 육상 32회(각 16회), 해상 11회 등 총 43회에 걸쳐 포집하였으며, 세슘 등 입자성 방사성 핵종 포집을 위한 공중 포집도 총 10회에 걸쳐 수행했다.

분석결과 현재까지 동북부 지역에 설치된 고정식 장비에서 제논-133이 0.16~1.14밀리베크렐(mBq/m3) 범위에서 총 9회 검출됐으며, 동해상에서 운영한 이동식 장비에서는 제논-133이 0.20~0.33밀리베크렐(mBq/m3) 범위에서 총 4회 검출됐다.

반면 입자성 방사성 핵종은 수차례의 공중 포집 활동에도 불구하고 검출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원안위는 제논-133의 포집 시기와 위치, 기류 및 탐지 결과 등을 종합하여, 6차 핵실험이 이루어진 북한 풍계리 지역에서 기류가 유입된 것으로 분석했으며 이번에 검출된 제논-133은 핵실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제논-133 이외의 다른 방사성 제논 핵종이 검출되지 않아 어떤 종류의 핵실험인지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못했다.

또 원안위는 현재까지 전 국토 환경방사선 준위는 평상시 수준인 50~300나노시버트(nSv/h)을 유지하고 있어,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한 환경 방사선 준위 변동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