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회원사 빠지고, 단체 존재 이유 불분명

▲ 전경련은 앞서 조직과 예상을 40%로 줄인다는 쇄신안대로 직원들을 대상으로 120명의 희망퇴직을 받을 예정이다. 삼성에 이어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이 모두 빠져나가면서 존재이유도 불분명해졌기 때문이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강기성 기자] 전경련 14년 만에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대규모 희망퇴직을 받는다.
 
13일 재계에 따르면 전경련은 앞서 조직과 예상을 40%로 줄인다는 쇄신안대로 직원들을 대상으로 120명의 희망퇴직을 받을 예정이다. 삼성에 이어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이 모두 빠져나가면서 존재이유도 불분명해졌기 때문이다. 이보다 최순실 게이트 등 지난 박근혜 정권의 정경유착 고리 역할을 하면서 대외적으로 받는 비난이 크게 작용했다.
 
전경련은 주요 회원사인 주요 그룹의 탈퇴함에 따라 재정상황이 급격히 나빠졌다. 2015년 기준 전경련의 연간회비 500억원 중 4대 그룹만으로도 70%이상 비중이다. 전경련은 이번 희망퇴직과 함께 남은 인력의 인건비도 감축할 계획이다. 지난 12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재정상황 설명회에서 사업지원실장은 “올해 재정상황을 고려하면 인건비의 경우 전년대비 50%이상 줄여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무엇보다 이번 희망퇴직과 관련해 재정적 어려움보다 대외적 명분 상 전경련이라는 단체의 존폐위기에 몰렸다는 해석이다. 다음 정권이 들어서더라도 전경련이 다시 대기업들이 재계를 대표하는 협회로 인정하고 회원사로 복귀할 것이라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유관단체인 한국경제연구원의 일부 기능을 제외하면 경제인연합회로서의 기능은 사실상 마비된 상태다.
 
한편, 전경련 임원급은 이번 희망퇴직에서 제외됐다. 특검 수사로 이승철 부회장과 박찬호 전무 등 임기가 거의 만료된 임원이 사표를 낸 것을 빼면 이번 희망퇴직으로 직원들에게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 아니냐는 불만도 나온다. 전경련은 쇄신안 발표 이후 기존 7본부 체제를 1본부 2실 체제로 바꾸고, 조직내 팀은 23개에서 6개로 줄였다.
 
전경련의 해체를 촉구해 온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회(경실련)은 “민법 38조에 따르면 목적이외의 사업을 하거나 설립허가의 조건에 위반하거나 기타 공익을 해하는 행위를 한 때에는 주무관청은 그 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며 “차기 정부와 국회가 전경련 해체를 통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을 것”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