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회원사 탈퇴 촉구

▲ 정경유착의 핵심 고리였던 전경련을 해체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전경련은 직원 희망퇴직 수순을 밟으며 조직을 유지하려는 움직임이다.ⓒ 뉴시스

[시사포커스 / 강기성 기자] 정경유착의 핵심 고리였던 전경련을 해체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전경련은 직원 희망퇴직 수순을 밟으며 조직을 유지하려는 움직임이다.
 
11일 전경련은 지난달 25일 상근 임원 3명의 사표를 수리했고, 오는 11일께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공고를 할 방침이다. 전경련은 이번 희망퇴직과 함께 직원 임금 삭감, 복지 축소 등의 내용도 첨가했다. 숫한 기업들의 구조조정 중에도 2003년 이후 지난 14년 동안 전경련에서 실시하는 첫 희망퇴직이다.
 
한국경제연구원과 위아래 층을 나눠쓰는 전경련은 직원이 130명 정도로 이 가운데 50명이 한경연에 파견형태로 근무 중이다. 한경연에는 따로 50여명의 연구원들이 있어 총 180여명의 두 조직을 합친 근로자들이 전경련 빌딩에서 근무하고 있다. 전경련은 예산도 40%감소하기로 했는데 이는 삼성, SK등 주요 회원사가 줄줄이 탈퇴하면서 지원금이 끊긴 탓이다.
 
LG CNS 옆 엘리베이터 양측으로 44~47층 4개층을 사용하던 전경련 사무실도 44~45층은 임대로 외부에 내주기로 했다. 지하 3층에는 기존 전경련 임원실로 통하는 직통 엘리베이터가 남아있다. 새롭게 내민 전경련의 명함은 ‘한국기업연합회’가 될 예정이다.
 
‘최순실-박근혜 게이트’로 전경련 이승철 부회장이 노출되면서 주요 기업회원사가 인연을 끊었지만, 전경련은 해체가 아닌 쇄신을 택하면서, 시민단체에서는 전경련의 해체를 당기기 위해서 기존 회원사들의 탈퇴를 권고하고 있다. 대선을 앞두고 정부와 국회에서는 문제제기 이후 소강상태다.
 
전경련이 희망퇴직 발표를 내놓던 당일인 11일과 전날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회(경실련)은 수차례 보도자료를 냈다. 11일 부산경실련에서는 지역기업들의 전경련 탈퇴를 거듭 촉구했다.
 
부산경실련은 “정경유착, 정치개입 사건의 핵심으로 지목된 전경련이 여러 차례 쇄신을 약속했지만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국민의 비판에도 ‘한국기업연합회’로 명칭을 변경하는 등 언제든 정경유착을 재실행할 수 있는 쇄신안이라며 국민 앞에 눈가리기를 하고 있다”고 부산지역 20개 기업의 탈퇴를 요구했다.
 
지난 10일 서울 동승동 경실련 강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는 경실련 측은 정부가 전경련 설립 허가를 취소할 것과 국회의 해체 이행을 촉구했다.
 
경실련 측은 “민법 38조에 따르면 법인이 목적 이외의 사업을 하거나 설립허가의 조건에 위반하거나 기타 공익을 해하는 행위를 한 때에는 주무관청은 그 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며 “그럼에도 주무관청인 산자부가 전경련 스스로 결정해야할 문제라고 방치하고 있으니 직무유기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또 "'전경련 해체 촉구 결의안’ 발의에서 시작해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인해 통과되지 못한 전경련 해체 법안 상정이 재차 시행돼야 한다”며 “차기 정부를 이끌 지도자가 전경련 해체를 통해 정경유착의 첫 단추를 푸를 것”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한 업계 관계자는 “전경련이 과거 주기적으로 자료를 내고, 동반성장, 통상임금 등의 굵직한 경제 문제에 대한 회의 등이 이어왔으나, 종합해보면 회원사인 대기업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자료와 내용이었다”며 “해체가 되지 않더라도 전경련과 같은 경제인들의 모임이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자리로 재차 전락돼서 안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