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규모 수십조원 5G서비스는 일부에 국한

▲ 5G 상용화 계획이 2019년 이후고 민간기업 외에 정부의 대대적인 투자가 진행될 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태서 5G를 상용화할 만한 기술적 수준도 아직 덜 된 상태이고 이를 활용할 단말기조차 없어 홍보가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KT와 SKT가 연일 홍보전을 펼치며 5G 주도권을 놓고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5G가 도입되려면 2019년 이후에나 가능하지만 벌써부터 글로벌 대형 이동통신사와 손을 맞잡고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5G 시장 선점에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팔을 걷어붙인 것에 통신사의 매출 성장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따라서 ‘황금알을 낳은 거위’ 5G에 KT와 SKT가 벌써부터 대대적인 홍보전에 나서고 있는 이유다.

SKT는 ‘5G스타디움’을 통해 분당 5G혁신센터, 영종도 BMW드라이빙센터, 강남 도심 5G 시험공간 등에서 개발한 핵심 기술과 ▲커넥티드카 ▲실감 미디어 서비스 ▲4D가상현실 등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선보였다.

KT는 2019년 세계 최초로 상용화 목표에 앞서 내년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 5G 시범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또 성화봉송 기간 동안 지나가는 봉송로에서 VR, AR 등 다양한 실감서비스를 활용해 5G 체험 행사를 진행한다.

그러나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협력기구의 5G 상용화 계획이 2019년 이후고 민간기업 외에 정부의 대대적인 투자가 진행될 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태서 5G를 상용화할 만한 기술적 수준도 아직 덜 된 상태이고 이를 활용할 단말기조차 없어 홍보가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기술 시연이 VR, AR, 자율주행차등에 국한돼 정작 고객들이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한정돼 있어 체험에만 그치는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그럼에도 이통사들이 5G에 저극 나서는 것은 시장 규모의 확장성이다. 5G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면서 국내 시장 규모만 2020년 3조1063억원, 2025년엔 약 35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협력기구인 3GPP가 지난 10일 총회를 열고 5G 상용화를 당초 2020년에서 1년 앞당기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5G표준 경쟁에서 유리한 확보를 차지하기 위한 합종연행이 활발하다.

SKT는 美 1위 이통사 버라이즌(Verizon)社와 유럽 1위 이통사 도이치텔레콤社와 글로벌 5G 기술 선도와 글로벌 New ICT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을 대폭 강화한다.

KT 역시 버라이즌(Verizon)社와 세계 최초로 5G망에 대한 글로벌 연동을 통한 실시간 홀로그램 영상통화를 시현하며 5G 비즈니스 모델의 성과를 과시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