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이명박-손학규’ 新 삼각편대 대권필승카드로 변신

▲ 이명박 전 서울시장
김근태 열린우리당 대표의 정계개편 발언 이후 정국이 급격히 요동치고 있다. 일찌감치 대선정국으로의 전환마저도 점쳐질 정도로 여의도에 전운이 감돌고 있는 것이다. 그 어느때보다도 복잡한 ‘이합집산’ ‘합종연횡’이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 한나라당이 차기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이루기 위해서는 지난 97년 대선을 앞두고 탄생한 DJP 연대를 벤치마킹 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시장, 손학규 전 경기지사가 각각 YS, DJ, JP가 되어야 한다는 것. 현재 한나라당의 차기 대선 대표선수는 단연 ‘빅3’다. 박, 이, 손 삼각편대가 거대 야당 한나라당의 정권교체 꿈을 위해 뛰고 있다. 이른바 ‘3김’은 국민의 정부를 탄생시킨 주역이다. DJ와 JP는 연대를 통해, YS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DJ의 정권교체를 도왔다. 따라서 한나라당이 차기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KKK 연대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는 것이다. 대선도 벤치마킹이다. 한나라당에 ‘DJP 벤치마킹’ 여론이 일고 있다. 골자는 97년 국민의 정부를 탄생시킨 ‘DJP 연대’가 재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권후보 경쟁 치열한 ‘빅3’ 현재 한나라당은 지지율 부동의 1위 박근혜 전 대표와 뒤를 바짝 쫓고 있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 그리고 최근 급속한 지지율 상승곡선을 보여주고 있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 등 이른바 ‘빅3’의 대권후보 경쟁이 치열한 상태다. 10월 정기국회 이후 정계개편 움직임과 함께 정가가 서서히 대선정국으로 접어들고 있는 시점이지만 노무현 대통령은 물론 열린우리당과 여권 대권후보들마저도 지지율 동반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아직 뚜렷한 대선주자가 부각되지 않은 상황에 집권 말기 레임덕 현상까지 겹쳐 여당의 지지율 반전은 당분간 힘들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반면 한나라당은 ‘빅3’의 지지율 합이 50%를 넘어선지 오래고 한나라당 지지율 역시 50%에 육박하고 있다. 수치상으로 이미 한나라당은 청와대 정문 앞까지 다다르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차기 대선을 보는 정가의 시각이나 한나라당 내부 시각 역시 그리 편안치만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지난 7·11 전당대회 결과 드러난 ‘친박’과 ‘반박’간 보이지 않는 갈등은 물론 지난 2002년 대선과정에서의 패배 등 쉽사리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는 분석 때문이다. ‘분열과 대세론’이 바로 한나라당 차기 대선정국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 한나라당은 지난 97년 대선에서 이인제 현 국민중심당 최고위원의 독자출마로 인해 DJP 연대로 맞선 김대중 후보에게 청와대 열쇠를 넘겨야만 했다. 지난 대선에서도 초기 절대 우위의 지지율을 지키지 못하고 막판 뒤집기에 성공한 민주당에 패해 대선 재수정당으로 전락했다. 특히 이회장 전 총재가 2전2패라는 성적을 기록하며 정국주도권을 빼앗기는 것은 물론 당 정체성에 혼란을 가져오기까지 했을 정도.
▲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4년 6개월간 절대우위를 지키며 ‘집권야당’이란 수식어들 달고 다니던 정당이 불과 6개월사이에 ‘대세론’을 지키지 못하고 무너져 내려버린 것이다. 결국 ‘대세론’에 자멸한 결과를 가져온 것. 이에 최근 한나라당 내외부에서 ‘대세론주의보’가 발령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난 5·31 지방선거 압승 이후 당내에 만연한 ‘대세론’에 안주해 정권교체를 물거품으로 만들 수도 있다는 우려썩인 시선도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한 관계자는 “국지전 승리를 전쟁 승리로 이어가서는 안 될 것”이라며 “적장 중요한 대선에서 다시 2002년의 악몽이 되풀이 되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는 것”이라고 최근 당내 분위기를 전하기도. 하지만 당 안팎의 이러한 우려섞인 시선과는 달리 지난 지방선거 이후 한나라당의 행보에는 ‘대세론’이 자리잡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4년전 6·13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두고도 6개월 뒤 대선에서 패배한 모습과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여주고 잇기도 하다. 한나라당 대권가도 또 다른 내부의 적은 바로 ‘분열’이다. 지난 7월 전당대회 이후 이른바 색깔론과 대리전 논쟁은 결국 급격한 세력분화 양상마저 드러냈다. 여기에 강재섭 대표 체제의 불안정한 정국운영도 한나라당의 불안요소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례로 야당으로서는 최고의 정치적 호재(?)였던 ‘바다이야기’ 사건과 ‘전시작전권 환수 논란’ 등 정치적 승부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보여준 한나라당의 모습은 그야말로 ‘우왕좌왕’이었다. 결국 지난 대선전과 거의 유사한 행보를 거듭하고 있는 한나라당이 오는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이뤄낼 수 있을까란 의문부호가 생기게 된 것이다. 이에 한나라당 안팎에서 서서히 대두되고 있는 것이 바로 97년의 ‘DJP 연대 벤치마킹 시나리오’인 것이다. 우리나라 정치사에 빼놓을 수 없는 ‘3김(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시대 막바지에 펼쳐진 최대의 정치드라마가 한나라당 내부에서 재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여당과의 3당합당을 통해 탄생시킨 ‘문민정부’가 YS의 자력발전에 의한 정권 탄생이었다면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는 바로 DJ와 JP는 물론 YS까지 힘을 합친 한편의 정치드라마였다. 결국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대선주자 한 사람의 자력발전이 아닌 내부 조율을 통한 정권교체 시나리오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지적인 것이다. 즉, 이른바 한나라당 ‘빅3’가 각각 YS, DJ, JP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97년 대선 당시 YS는 집권당 출신의 대통령이었지만 실상은 ‘국민의 정부 탄생 1등 공신’이었다는 게 정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10년만에 등장한 ‘DJP 연대’ 97년 11월, 대선을 불과 한 달 남짓 남겨놓은 시점에서 YS는 자신을 청와대로 보내는 산파역할을 했던 신한국당 탈당을 감행했다. 당시 신한국당 대선후보는 이회창 전 총재. YS의 탈당은 자신이 대선후보로 나섰던 92년 당시 대통령이었던 노태우 전 대통령의 탈당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당시 자신의 사돈인 SK그룹에 대한 이동통신사업 허가문제, 관권선거의혹으로 인한 정치권의 중립선거 내각으로의 개각 등으로 인해 자당의 대선후보였던 YS가 정치적 잡음에 휘말리자 탈당을 감행, YS의 짐을 덜어주었다. 결국 YS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들이 집권여당과 연계돼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권재창출에 성공, 문민정부를 탄생시켰던 것. 하지만 지난 97년에는 상황이 180도 다른 양상으로 전개됐다. 대선 즈음에 YS의 탈당은 곧장 ‘이인제 학습효과’로 이어졌고 결국 ‘DJP 연대’를 만들어 낸 DJ가 정권교체에 성공했던 것이다. 따라서 YS와 노 전 대통령의 탈당은 상반된 결과를 가져오게 된 셈이다. 특히 YS의 탈당은 자당 후보가 아닌 상대당 후보의 당선이라는 결과를 불러왔다. 여기에 ‘500만표의 사나이’ 이인제 탈당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업고 DJ가 청와대 입성에 성공한 셈이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JP역시 ‘킹메이커’로서의 면모를 과시하며 ‘DJP 연대’를 통해 정치적 재기에 성공했다. 즉, 3김의 ‘윈-윈 전략’이 맞아 떨어지며 3김 세대의 마지막 정치대하드라마를 연출한 것이 바로 지난 97년의 대선과정이었다. 최근 한나라당 안팎에서 일고 있는 ‘DJP 벤치마킹 시나리오’ 역시 ‘빅3’의 대립구도를 연합구도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 밑바탕에 깔려있다. 부동의 1위 박 전 대표와 2위 이 전 시장, 그리고 최근 급격한 지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손 전 경기지사가 바로 각각 YS, DJ, JP의 역할을 해야 된다는 것이다. 비록 세 후보의 지지율을 합칠 경우 50% 포인트를 훌쩍 넘기지만 서로 경쟁구도로 갈 경우 정권교체의 꿈은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2002년 대선을 제외하고 역대 대선은 ‘다자구도’에서 치러져왔다. 특히 3김 시대에 야권의 분열은 민주화 세력의 숙원이던 정권교체를 이루기는커녕 민주세력 분열이라는 사생아를 탄생시켰다. 결국 ‘1노 3김’의 대결에서 패배한 YS가 야당을 포기하고 여당과 ‘3당 합당’을 감행하며 청와대에 입성할 수 밖에 없었던 것도 결국은 이러한 ‘야권분열’ 때문이었다. 비록 DJ가 정권교체를 성공하긴 했지만 여기에는 ‘DJP 연대’와 YS의 조력이 있었기 때문. 지난 2002년 대선에서야 ‘다자구도’에서 ‘양자구도’로 대선 양상이 바뀌었지만 실상은 참여정부 탄생의 이면에는 ‘정몽준’이라는 카드가 숨겨져 있었다. 결국 여권후보 단일화가 정권 재창출의 키워드 역할을 한 셈이다. 만일 지난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와 정몽준 후보가 단일화를 이루지 못했다면 정권재창출은 말 그대로 ‘희망사항’일 뿐 이었다는 것은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따라서 차기 대선구도 역시 단일화를 통한 ‘양자구도’로 전개될 경우 현재 마찰을 빚으며 잡음을 내고 있는 한나라당 대선주자들의 행보에 비춰볼 때 ‘2002년의 재판’이 되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는 셈이다. 이에 자신들이 정권교체를 당했던 지난 97년의 ‘DJP 연대’를 이번엔 한나라당 내부에서 이뤄내야 한다는 것이다. ‘DJP 연대’는 ‘김대중 대통령-김종필 총리’라는 연대고리를 만들어냈다. 따라서 한나라당도 ‘빅3’ 대결구도보다는 ‘런닝메이트’ 형식의 연대고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유력주자들이 경선이라는 이름으로 분열 양상을 보이는 것보다는 일찌감치 교통정리를 통해 연대전선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극단적으로는 ‘경선의 승자는 대통령을, 패자는 국무총리를’이라는 암묵적인 사전 조율을 통한 분열 방지책이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야당 생활 10년 청산할까? 1997년, 2002년, 반세기 국내 정치사에 여당의 프리미엄을 누려왔던 한나라당이 야당으로 전락한 지 벌써 10년째. 정가 일각에서는 “한나라당이 2007년 대선에서 패배한다면 존폐의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다”라는 성급한 분석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점차 대선가도를 향한 정가의 발걸음에 가속도가 붙고 있는 2006년 10월. 한나라당 ‘빅3’의 향후 대선행보에 정가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