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민주노총‧공대위, LGU+에 대책요구…‘묵묵부답’

▲ LGU+ 전주 사업장에서 한 현장실습 여고생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유가족과 공동대책위원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추모행사, 현장집회 등을 망설이지 않고 나서 LGU+의 진상규명을 촉규하고 있다. ⓒ 공동대책위원회

[시사포커스 / 강기성 기자] 현장실습 여고생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LGU+ 고객센터 ‘계약해지방어’부서에서 근무하던 여고생 A씨가 지난 1월 23일 전주 아중저수지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A 씨는 작년 9월 취업연계형 현장실습을 시작해, 2월 9일 실습종료를 앞두고 사망했다.
 
이 사업장은 원청인 LGU+에서 해당부서로 ‘하루 몇 건을 해야한다’, ‘건당 운영비는 얼마’ 등 실질적인 운영방침을 하달하고 있다. LGU+ 측은 현장실습생인 A씨의 죽음에 대해 두 달 가까이 지난 현재까지 ‘묵묵부답’이다.
 
17일 민주노총과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LGU+ 현장실습생 공동대책위원회는 전주 LGU+고객센터 사업장 앞에서 추모행사를 열고 있다. 앞서 15일 위원회는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장에서 유가족과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LGU+ 현장실습생 사망사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공동대책위원회는 이날 “LG U+측은 기자들을 불러모아 ‘한점 부끄러움 없다’는 식으로 입장을 발표했고, 고용노동부는 사건이 한 달이 지나서야 진상조사에 나섰다”며 “LGU+나 고용노동부, 교육부가 밝혀낸 진실은 현재까지 전혀 없다”고 밝혔다.
 
앞서 A 씨가 근무했던 ‘계약해지방어’부서는 LGU+ 고객센터 내에서도 노동 강도가 높기로 유명한 곳이다. 지난 2014년 10월에 근로자 한명이 ‘실적압박‧감정노동‧노동착취’에 대한 호소를 유서로 남기고 자살한 곳이기도 하다.
 
▲ ⓒ LGU+

유가족의 말에 따르면 사망 전에 A씨는 회사에서 매일 주어지는 ‘건수’에 대한 압박 때문에 가족들에게 어려움을 빈번이 호소했다. 그러던 중 사망 전날엔 죽음을 예고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한다.
 
지난 12월 현장실습 담당교사 평가지에도 A씨가 고객응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업무스트레스를 심하게 느끼고 있다고 적혀있다. 사건이 일어난 직후 다른 실습생들의 심리검사 결과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여전히 ‘자신의 딸은 죽을 이유가 전혀 없다’며 여고생 유가족들은 사업장과, LGU+에서 정확히 무슨 일이 있었는지 진실을 밝혀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15일 기자회견장에서 유가족들은 LGU+가 ‘직접 사과할 것’과 ‘학생들에게 다시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방지책을 내놓을 것’을 촉구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장실습생도 같은 근로자다. 회사를 위해 힘들게 일하던 직원의 죽음에 관계자들은 서로 모른 척하고 있다”며 “이번까지 벌써 두 차례나 사망 사건이 일어난 사업장이다. 원청인 LGU+ 쪽에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LGU+고객센터 사업장은 LG그룹 구본무 회장 사촌인 구본완씨가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800억원의 일감을 받는 LG그룹 방계회사다. 이 회사는 2주마다 사람을 뽑아야할 정도로 근로조건이 열악했고, 현재 A씨와 입사한 실습생 33명 중 10명만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다.
 
LGU+ 측 관계자는 “해당 하청기업은 LB휴넷으로 아무런 지분관계가 없는 회사”라며 “검찰조사가 진행 중이며 조사가 끝나는 대로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또한 “앞서 사망한 근로자는 검찰조사결과 회사 업무와는 관계가 없는 개인적인 이유인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번 사안도 여러 상황에 대비해 대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공동대책위원회는 고용노동부에도 철저한 진상을 규명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위원회 관계자는 “A씨는 특성화고 애완동물학과 소속임에도 현장실습을 전공과는 동떨어진 업무를 배정받았다”며 “단지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학교와 비용절감 차원에서 실습생을 활용하려는 기업의 이해관계 탓에 저임금-장시간 일자리 조기취업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고용노동부는 학생신분이라는 이유로 실제 노동하고 있는 현장실습생의 노동권을 외면하지 말고, 철저히 수사해 불법행위를 엄단해야 한다”며 “학생들이 질 낮은 일자리로 내몰리는 상황을 벗어나고 질 높은 일자리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