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박차순 할머니 별세, 생존 피해자는 39명으로 줄어

▲ 중국에 거주하던 ‘위안부’ 피해자 박차순 할머니가 18일 오전 별세했다. 박 할머니의 사망으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 피해자는 39명으로 줄었다. ⓒ정대협 페이스북
[시사포커스/고승은 기자] 중국에 거주하던 ‘위안부’ 피해자 박차순 할머니가 18일 오전 별세했다. 박 할머니의 사망으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 피해자는 39명으로 줄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은 이날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중국 호북성에 살고 계시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박차순 할머니께서 오늘 아침 7시 30분에 별세하셨다”고 밝혔다.
 
정대협에 따르면, 1923년에 태어난 박 할머니는 집이 가난하여 큰아버지 댁에 맡겨졌고, 이후 술통에서 술을 떠서 파는 점원생활을 하다 중국으로 팔려가 일본군에 고통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1945년 해방 이후, 일본군의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 도망친 박 할머니는 ‘위안부’ 생활을 한 것이 너무나 부끄러운 일이라고 생각해 고향으로 가지 않고 중국에 정착해 평생을 보냈다.
 
정대협은 “지난해 중국 호북성으로 할머니를 찾아뵈었을 때 할머니는 우리말을 다 잊으셨지만 고향을 여쭤보니 전남 나주라고 우리말로 답하시고, 아리랑, 두만강 노래도 부르셨다”면서 “‘조선은 괜찮냐?’고 고국 걱정을 하셨다”고 회고했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박 할머니의 사망을 두고 화해치유재단 홍보를 하며 빈축을 사고 있다. 여가부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박 할머니는 생전 화해치유재단 사업에 대해 수용의사를 밝힌 바 있으며, 이에 따라 지난 해 현금지급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일본정부의 10억엔 출연을 조건으로 세워진 화해치유재단은, 10억엔에 대해 치유금→배상금→배상금적 성격의 치유금 등으로 입장이 바뀌며 빈축을 산 바 있다.
 
또 최근엔 화해치유재단에서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위로금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고령인 피해당사자도 모르게 돈 전달을 강행했다는 사실이 폭로되며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면서 시민단체들로부터 ‘일본의 심부름꾼 노릇을 하느냐’라는 성토를 받으며 강력한 해체 요구를 받고 있다.
 
이같은 논란과 관련, 화해치유재단은 지난 15일 입장을 통해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반성 표명 및 책임 이행조치로서 전달된 일본 정부의 출연금을 피해자와 유족의 희망을 경청하여 전달하고 있다”며 부인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