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도 가계부채 증가에 한몫. 朴정권 가계부채 ‘급증’ 계속

▲ 현재 1천300조원에 육박하며 천정부지로 급증하는 가계부채가 경기상황보다는 주택시장과의 연관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이같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사진/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고승은 기자] 현재 1천300조원에 육박하며 천정부지로 급증하는 가계부채가 경기상황보다는 주택시장과의 연관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한국은행이 금리를 계속 내린 것도 가계부채를 천정부지로 올리는 데 한 몫 했다는 셈이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스페인, 영국 등은 잇달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이고 있으나 한국만 ‘디폴트’를 선언한 그리스처럼 가계부채 비율을 늘리고 있는 상태다. 특히 박근혜 정권 3년반동안 늘린 가계부채는 324조4천315억원에 달해, MB정권 5년 동안 늘어난 가계부채(360조1천90억원) 규모의 90%에 육박할 정도로 더욱 가속도가 붙고 있다.
 
7일 한국은행이 신용순환과 경기 및 주택시장 간의 관계를 동조화 지수(CI:Concordance Index)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 신용순환은 경기와 연관성이 큰 반면 가계의 신용순환은 주택가격과 연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지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8년간 가계신용순환과 경기순환의 동조화 지수는 0.97로 추산돼 거의 동일했다. 반면 같은 기간 가계신용순환과 주택가격순환의 동조화 지수는 0.69에 그쳤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택시장과의 연관성이 두드러졌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 8년간 가계신용과 경기의 동조화 지수는 0.53으로 크게 떨어졌으나, 오히려 주택가격과의 동조화 지수는 0.73으로 올랐다.
 
역으로 기업의 신용순환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금융위기 이전 8년간(2000~2007년) 기업신용과의 CI는 경기가 0.78, 주택가격이 0.84로 주택가격과의 연관성이 컸다. 반면, 금융위기 이후 8년간(2009∼2016년)엔 경기 0.62, 주택가격 0.30으로 집계돼, 기업신용의 경기와의 연관성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