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에 웃고 광고에 울고~~~

광고가 이제는 스타로의 부상 과정에 필수적인 매개체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스타들의 이미지 강화와 변신의 기제로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다. 광고는 연예인들에게 수입창구뿐만 아니라 연예인을 발굴하고 유통시켜 스타로 부상시키는 스타 시스템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엔 회사의 실체에 대해 모르고 무턱대고 광고를 찍었다가 한순간 이미지가 추락하는 스타들을 보면 안타깝기도 하다. CF 하나에 운명이 갈린 스타들... 그들을 들여다보자. 최근 들어 광고는 연예인의 데뷔 채널뿐만 아니라 인지도를 올리는데 강력한 기능을 한다. 그래서 드라마나 영화보다 진입이 손쉬운 광고를 통해 연예인에 데뷔하고 이름을 알린 뒤 드라마나 영화에 진출하는 경우가 많다. ◆ 스타등용문?! TTL의 신비소녀로 알려져 세인의 관심을 모은 임은경은 광고로 데뷔하고 인지도를 높인 대표적인 경우다. 광고로 연예인으로서 데뷔한 임은경은 이후 영화와 드라마에 얼굴을 내밀며 활동을 하고 있다. 임은경처럼 광고로 데뷔하는 연예인들이 이제는 쉽게 볼 수 있다. 심지어 특정 광고가 신인이나 연예인 지망생을 일약 스타 대열로 합류시키는 추세마저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본보기가 박카스 광고다. 고수 한가인 등이 박카스 CF로 각광을 받으며 본격적인 연예인의 길로 들어섰다. 노출 빈도가 매우 높은 광고를 통해 인지도를 높여 스타 대열에 합류하는 경우도 많다. 바로 전지현이 대표적인 경우다. 그녀는 잉크젯 등 광고에 나와 그녀가 춤추는 광고 장면이 삽시간 인터넷을 통해 대량 유통되면서 엄청난 인기를 끌어 순식간에 스타 대열에 합류했다. 여전히 전지현은 드라마나 영화보다는 광고를 통해 대중성을 확보하는 스타로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다. ◆ 이미지메이킹에 최고~ 근래 들어서는 스타의 이미지 강화나 변화에 광고가 중요한 역할을 해 스타의 상품성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광고는 기존의 스타 이미지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대중이 좋아하는 스타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영애가 전형적인 경우다. 이영애는 화장품 광고에서의 ‘산소 같은 여자’라는 광고 카피로 그녀의 순수하고 맑은 이미지가 지금까지 강력하게 대중에게 어필하고 대표적인 이미지로 굳어져 있다. 최근의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의 주연 김선아는 그녀가 주로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였던 코믹 이미지를 광고에서 차용해 코믹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 반대의 경우도 있다. 드라마의 캐릭터로 굳은 이미지를 노출 빈도와 내용 강도가 강한 광고를 통해 변신을 꾀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최근 청순한 이미지로 굳어졌던 송혜교가 각종 광고에서 섹시한 이미지를 연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처럼 대중에게 강하게 각인된 자신의 이미지를 광고를 통해 변신을 꾀하는 경우도 많이 생겼다. 이처럼 이제 광고는 엄청난 수입원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기도를 높이는 수단이며 이미지의 심화와 변화의 기제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 사기범이라 매도당하는 C씨 그러기에 CF에 매달리는 스타들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얼마 전 터진 가짜 명품화장품 사례를 봐도 그렇듯 제품의 실체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한 채 무턱대고 찍은 광고가 한 스타에게 어떤 치명타를 입히는지는 너무도 뻔하다. 고위층과 부유층, 일부 연예인들까지 속인 가짜 `명품시계`사건에 이어 터진 가짜 `명품화장품’, 그 논란의 중심에 스타 C씨가 서있다. `세계 상위 1%에게만 드리는 특권`을 통해 한 재미교포가 만든 제품이 과대, 거짓 포장돼 국내에서 고가의 미국 명품 화장품으로 둔갑하여, 2004년 한국에 첫선을 보인 미국 화장품브랜드 `쓰리랩`(3lab)은 `2004 토니 어워드 럭셔리 아이템 선정` `할리우드 스타들이 애용하는 화장품` 등을 내세워 홍보를 펼쳤으나 확인결과 모두 거짓이었다. 자연스레 그 불똥은 브랜드의 첫 광고 모델이었던 톱스타 여배우 C씨에게 튀었다. ‘쓰리랩 코리아’가 선택했던 첫 광고 모델 여배우 C씨는 모델료만 5억원에 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C씨는 1년 6개월 만에 드라마 컴백을 앞두고 있어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지면 광고 촬영을 위해 뉴욕에 갔을 때에는 일부 언론들도 동행했으며 드라마가 성공하자 ‘쓰리랩’은 C씨의 화장품으로 소개되며 그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여배우 C씨 컴백 성공의 최대 수혜자가 ‘쓰리랩’이라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니 말이다. 일부 네티즌들은 확실한 회사의 광고에만 나갈 수 있도록 연예인과 공인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광고 모델을 했다고 공모자니 사기범이니 하며 매도하는 것, 과연 정당한 일일까. C씨의 소속사는 "C씨가 ‘쓰리랩’과의 광고 계약 당시, 회사의 실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지 못했다"고 밝혔다. 면세점에까지 버젓이 입점한 제품을 의심해보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스타는 공인의 자격을 분명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무조건 실체를 알지 못했다 발뺌하는 건 그들을 보는 시청자들에게 무책임하게 비쳐질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검증되지 않은 일본 대부업체의 광고에까지 얼굴을 내미는 스타들이 있는 한 책임은 없고 권리만 누리려한다는 비난을 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스타들의 각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미지 타격의 가장 큰 피해자는 바로 그 자신임을 잊지 말길.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