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센타이어를 시작으로 기업들의 정기주총 시즌이 개막한 가운데, 기업 오너들의 등기이사 등재 여부가 새삼 화제다. 특히 최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올해도 등기이사를 맡지 않기로 한데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등기이사 등록 여부도 미지수라는 점이 부각되면서 일부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는 모양새다.
 
업계 안팎에서는 ‘책임경영 회피’라는 회초리를 들었다. 막강한 권한만 누리고 책임은 지지 않으려한다는 이유에서다. 등기이사가 되면 법적 책임과 함께 보수를 공시해야할 의무가 생기는 등 기업 오너로서는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꺼린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에서는 꼭 등기이사에 오르지 않더라도 오너로서 책임을 지고 있으며 등기이사 등재를 책임경영과 무작정 결부시킬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대다수 지성인들의 생각은 달랐다. 학계에서는 기업 오너의 등기이사 미등록 현상을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하는가 하면, 국가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해를 끼칠 수 있다며 우려하기도 한다.
 
기업 오너들이 지고 있는 책임에 비해 이들이 받는 퇴직금은 과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제개혁연대가 발표한 보고서 ‘기업 임원의 퇴직급여 현황과 제도개선 방향 모색’에 따르면 총수 일가 임원의 퇴직금은 전문경영인에 비해 평균 3배나 많다. 2014년 기준 전문경영인 퇴직금이 근무기간 1년당 평균 1억2800만원인 반면, 지배주주 일가 퇴직금은 그 3배를 넘는 3억8400만원에 달했다.

그간 기업 총수들의 고액 퇴직금에 대해 논란이 이어져왔던 만큼 새삼 놀라울 건 없지만, 경영상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무거운 책임을 느끼는 전문경영인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상당할 수밖에 없다.
 
다시 책임 경영이라는 주제로 돌아와서, 기업 오너의 책임과 등기이사 등록 여부의 연관성이 있는지 없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확실한 건 등록과 무관하게 오너에게는 기업 경영에 막중한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회사를 경영하는 과정에서 각종 문제들이 불거졌을 때의 오너들의 모습이, 책임을 피하려고 발버둥 치는 것처럼 보이는 건 기자뿐 일까.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